2010. 3. 12. 12:17ㆍ[사람과 향기]/▒ 문학의향기 ▒
법정스님의 가르침
▲ '홀로 사는 즐거움' 중
사람은 본질적으로 홀로일 수밖에 없는 존재이다.
홀로 사는 사람들은 진흙에 더럽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살려고 한다.
홀로 있다는 것은 물들지 않고 순진무구하고 자유롭고 전체적이고 부서지지 않음이다.
▲ '버리고 떠나기' 중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다. 영원한 것이 어디 있는가.
모두가 한때일 뿐. 그러나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 수 있어야 한다.
삶은 놀라운 신비요, 아름다움이다.
▲ '오두막 편지' 중
내 소망은 단순하게 사는 일이다. 그리고 평범하게 사는 일이다.
느낌과 의지대로 자연스럽게 살고 싶다. 그 누구도, 내 삶을 대신해서 살아줄 수 없다.
나는 나답게 살고 싶다.
▲ '물소리 바람소리' 중
빈 마음, 그것을 무심이라고 한다. 빈 마음이 곧 우리들의 본마음이다.
무엇인가 채워져 있으면 본마음이 아니다. 텅 비우고 있어야 거기 울림이 있다.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 있는 것이다.
▲ '산에는 꽃이 피네' 중
나는 누구인가? 스스로 물으라. 자신의 속얼굴이 드러나 보일 때까지 묻고 묻고 물어야 한다.
건성으로 묻지 말고 목소리 속의 목소리로 귀 속의 귀에 대고 간절하게 물어야 한다.
해답은 그 물음 속에 있다.
▲ '산방한담' 중
우리 곁에서 꽃이 피어난다는 것은 얼마나 놀라운 생명의 신비인가.
곱고 향기로운 우주가 문을 열고 있는 것이다.
잠잠하던 숲에서 새들이 맑은 목청으로 노래하는 것은 우리들 삶에 물기를 보태주는 가락이다.
▲ '봄여름가을겨울' 중
우리가 지금 이 순간 전 존재를 기울여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다면 이 다음에는 더욱 많은
이웃들을 사랑할 수 있다. 다음 순간은 지금 이 순간에서 태어나기 때문이다.
지금이 바로 이때이지 시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 '길상사 창건 법문' 중
길상사가 가난한 절이 되었으면 합니다.
요즘은 어떤 절이나 교회를 물을 것 없이 신앙인의 분수를 망각한 채 호사스럽게 치장하고
흥청거리는 것이 이 시대의 유행처럼 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풍요 속에서는 사람이 병들기 쉽지만 맑은 가난은 우리에게 마음의 평화를 이루게 하고
올바른 정신을 지니게 합니다. 이 길상사가 가난한 절이면서 맑고 향기로운 도량이 되었으면 합니다.
불자들만이 아니라 누구나 부담 없이 드나들면서 마음의 평안과 삶의 지례를 나눌 수 있었으면 합니다.
'[사람과 향기] > ▒ 문학의향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가을의 풍경 (0) | 2011.11.13 |
---|---|
임진강에 서서 (0) | 2011.04.22 |
행여 지리산에 오시려거든 (0) | 2009.11.13 |
비가와도 좋은 날 (0) | 2009.07.16 |
내 인생에 가을이 오면 (0) | 2008.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