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어 배우기
2015. 7. 2. 19:34ㆍ[사람과 산]/▒ 해외트레킹 ▒
○ 네팔어 배우기 | ||||||||
네팔어는 한국어와 말의 순서가 같아서(주어 +목적어+술어) 단어를 외워서 순서대로 하면 된다. | ||||||||
뿐만 아니라 수식이나 전치사의 위치 , 조사의 용법도 거의 같다. 이렇게 쉬운데 네팔어가 배우기 | ||||||||
어려운 이유는 반복된 훈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외국어를 잘하는 지름길은 기본이 되는 문장을 | ||||||||
외워서 반복된 훈련이 외국어를 잘하는 노하우라고 할 수 있다. | ||||||||
네팔어의 기본 문장 두가지(긍정문, 부정문, 의문문의 두가지 형식-6가지) 이 두가지 문장은 네팔 | ||||||||
회화의 절반이라 할 수 있는데, 이 두가지 기본 문형 만으로도 기본 대화가 가능합니다. | ||||||||
1. ~호?(~입니까?), ~호(~이다), ~호이너(~아니다) 의 표현법 | ||||||||
예문) 요 께 호?(이것은 무엇 입니까?) / 뚀 께 호?(저것은 무엇 입니까?) | ||||||||
*의문문은 께(무엇)라는 의문대명사가 들어가 있지만 발음은 호? 의 끝을 올려 줘야 한다. | ||||||||
예문) 요(이것) / 뚀(저것) +거르(집) +호(입니다) 또는 호이너(아닙니다) | ||||||||
세가지 문형을 정리해 보면, | ||||||||
* 요 끼답 호 ^ ? ( 이것은 책 입니까?) - 의문문 | ||||||||
* 요 끼답 호 (이것은 책 입니다.) - 긍정문 | ||||||||
* 요 끼답 호이너 (이것은 책이 아닙니다.) - 부정문 | ||||||||
꼬따(방), 도까(문), 졸라(가방), 루가(옷), 줏따(신발), 끼답(책), 까삐(공책), 꺼럼(펜), | ||||||||
테불(테이블, 탁자), 메쪄(의자), 거띠(시계) | ||||||||
2. 처(chha, ~있다 ) / 처이너(chhaina, ~없다) 의 표현법 | ||||||||
* 영문 표기에 맞춰 chha - 차, chhaina - 차이나 라고 하면 잘 못 알아 듣는다. a 의 발음은 '어' 로 | ||||||||
발음 해야하고 '아' 의 영문 표기는 aa 나 a 위에 물결 표시가 있는것을 '아' 로 발음하기 때문이다. | ||||||||
처 / 처이너 는 두가지 의 뜻이 있는데 | ||||||||
...소유(~가지고 있다) 를 나타내는 의미와 / ...위치(~에 있다) 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임. | ||||||||
예문) 메로(나의)/떠바잉꼬(너의) 거르(집) 마(에) 초라(아들) 처(있다) / 처이너(없다) | ||||||||
뿌르스(남자), 머히라(여자), 사람(만체), 선생님(구루), 초라(아들), 초리(딸), 부바(아버지), | ||||||||
아마(어머니), 시리만(남편), 시리머티(아내), 바이(남동생), 버히니(여동생), 다주(형), 벚짜(아이) | ||||||||
# 의문 대명사 | ||||||||
께(무엇), 꺼하(어디), 꺼히레(언제), 꼬(누구), 꺼띠(얼마), 끼너(왜) | ||||||||
*의문 대명사가 없는 말의 의문문을 만들려면 처 /처이너 의 끝을 올려 주면 된다. | ||||||||
예를 들면 | ||||||||
* 메로 거르 꼬리야마 처(나의 집은 한국에 있습니다) | ||||||||
* 메로 거르 꼬리야마 처이너(나의 집은 한국에 없습니다) | ||||||||
* 떠바잉꼬 거르 꼬리야마 처?(당신의 집은 한국에 있습니까?) | ||||||||
의문 대명사를 이용해서 문장을 만들어 보면 | ||||||||
떠바잉꼬 거르마 꺼하 처?(당신의 집은 어디에 있습니까?) | ||||||||
우하꼬 졸라마 께 처?(그의/그녀의 가방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 ||||||||
뻐설(가게), 빠니(물), 찌니(설탕), 눈(소금), 서스또(값이 싼), 머헝고(값이 비싼) | ||||||||
따또(뜨거운), 찌소(차가운) 등을 넣어서 문장을 만들수 있다. | ||||||||
앞에서 말했듯이 네팔어 문장의 순서, 꾸밈(수식)은 한국어와 거의 같다. | ||||||||
주로 술어로 사용되는 동사의 변화(국문법에서는 동사의 활용)에 대해서 알아 보자. | ||||||||
동사의 변화는 같은데 각각의 인칭에 따라 변하기때문에 한국어와는 좀 다르다. 유일하게 다른 | ||||||||
부분은 다음과 같다. | ||||||||
각각의 인칭, 1인칭(나), 1인칭복수형(우리), 2인칭(당신, 너), 3인칭(그, 그녀)에 따라 동사가 다르게 | ||||||||
활용되고 현재형/현재부정형, 과거형/과거부정형, 미래형/미래부정형에 따라서도 다르다. | ||||||||
1. 현재형과 현재부정형 | ||||||||
예) 머(나는) + 아저(오늘) + 포카라마(포카라에) + 버스추(있어요. 머물러요) | ||||||||
여기서 1인칭 머(나는), 버스누(머물다)에서 "누"를 제외하면 버스추(머물러요)->버세(머물렀어요) | ||||||||
->버스네추(머물것입니다) 로 바뀝니다. | ||||||||
1인칭 현재형 / 현재 부정형 | ||||||||
머 어히레 포카라마 버스추/버스디너(나는 지금 포카라에 머물러요/머물지 않아요) | ||||||||
1인칭 복수인칭 현재형 / 현재 부정형 | ||||||||
하미 어히레 포카라마 버스춰우/버스더이너우(우리는 지금 포카라에 머물러요/머물지 않아요) | ||||||||
버스누+춰우 / 버스누+더이너우 : 동사원형에서 "누"를 없애고 활용함. 하미허루(우리들은) | ||||||||
2인칭과 3인칭 | ||||||||
떠바이 어히레 꺼하 버스누훈처 / 버스누훈너(당신은 지금 어디에 머물러요?) | ||||||||
우하 어히레 꺼하 버스누훈처 / 버스누훈너 (그/그녀는 지금 어디에 머물러요?) | ||||||||
* 2, 3인칭에서 높임표현(떠바이/우하), 보통표현(띠미/우니), 낮춤표현(떠/우) 가 있고, 이 또한 | ||||||||
어미변화가 다른데 남성 여성에 따라 또 달리 표현 하기 때문에 조금 복잡하다. | ||||||||
2. 과거형과 과거 부정형 | ||||||||
1인칭 | ||||||||
머 히조 너야버잘마 버세/버시너 (나는 어제 너야버잘에 머물렀어요) | ||||||||
* 버스누(동사원형)+ 에(1인칭 과거형 접미사)=버세, 버스누+이너(과거 부정형)=버시너 | ||||||||
1인칭 복수형 | ||||||||
하미 히조 너야버잘마 버 셔우/버세너우 (우리는 어제 너야버잘에 있었어요/있지 않았어요) | ||||||||
버스누(동사원형)+여우(1인칭 복수 과거접미사)=버셔우, 버스누+에너우=버세너우 | ||||||||
*하미허루(우리들), 떠바이허루(당신들), 우하허루(그/그녀들) | ||||||||
2인칭과 3인칭 | ||||||||
떠바이 꺼히레 카트만두마 버스누버요/버스누버에너 | ||||||||
(당신은 언제 카트만두에 머물렀어요? /머물지 않았어요?) | ||||||||
우하허루 꺼히레 사띠성거이 카트만두마 버스누버요?/버스누버에너? | ||||||||
(그들은 언제 친구와 함께 카트만두에 머물렀나요?/떠났나요?) | ||||||||
3. 미래형과 미래부정형 | ||||||||
1인칭 | ||||||||
머 볼리 룸비니마 자네추/자네처이너 (나는 내일 룸비니에 갈것이다/안갈것이다) | ||||||||
(자누-가다의 동사원형+네추-1인칭 미래형 접미사, 자누+네처이너-1인칭미래 부정접미사) | ||||||||
1인칭 복수형 | ||||||||
하미 볼리 사띠성거이 담푸스마 자네처우 (우리는 내일 친구와함께 담푸스에 갈것이다) | ||||||||
2인칭과 3인칭 | ||||||||
떠바이 볼리 담푸스마 자누훈네처 (당신은 내일 담푸스에 갈것이다) | ||||||||
우하 볼리 머 성거이 호텔마 자누훈네처/자누훈네처이너(그녀는 내일 나하고 호텔에 갈것이다) | ||||||||
* 각각의 인칭별 동사의 어미 변화는 한국어는 인칭에 따른 변화는 없지만 네팔어는 그렇지 않다 | ||||||||
4. 현재 진행형 | ||||||||
한국어에서 ~하고 있다. 영어에서의 동사+ing형, 네팔어에서는 동사원형+더이+접미사 형식이다. | ||||||||
1인칭 | ||||||||
머 어히레 꼬따마 버스더이추/버스더이처이너 (나는 지금 방에 머물고 있어요/있지않아요) | ||||||||
1인칭 복수형 | ||||||||
하미 어히레 호텔마 버스더이처우/버스더이처이너우 | ||||||||
(우리는 지금 호텔에 머물고 있어요/있지 않아요) | ||||||||
*버스누(동사원형)+더이(진형형)+처우(복수형접미사)/처이너우(복수형부정접미사) | ||||||||
2인칭과 3인칭 | ||||||||
떠바이 어히레 꾼 호텔마 버스더이 후누훈처/후누훈너? | ||||||||
(당신은 지금 어떤 호텔에 머물고 계십니까?) | ||||||||
우하(그/그녀)의 문장도 떠바이(당신) 과 같다. | ||||||||
자세히 살펴보면 각 인칭별 접미사 변화와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 그리고 현재진행형에 | ||||||||
일정한 규칙이 있음을 알수 있다. 이것은 네팔어 문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기본이다. | ||||||||
동사원형에 각인칭의 변화를 적용하므로 동사의 원형 암기는 중요(현재형 과거형 미래형 포함) | ||||||||
* 거르누(~하다)의 예를 들면 | ||||||||
1인칭 | ||||||||
거르추(현재형)-거레(과거형)-거르네추(미래형)-거르더이추(현재진행형) | ||||||||
1인칭 복수형 | ||||||||
거르처우(현재형)-거려우(과거형)-거르네처우(미래형)-거르더이처우(진행형) | ||||||||
2인칭과 3인칭 | ||||||||
거르누훈처(현재형)-거르누버요(과거형)-거르누훈네처(미래형)-거르더이후누훈처(진행형) | ||||||||
* 하나만 예를 들고 나머지는 동사원형만 적도록 하겠습니다. | ||||||||
자누(가다), 아우누(오다), 히드누(걷다), 더우드누(뛰다) | ||||||||
디누(주다), 리누(받다), 랴우누(가져오다), 직누(집다), 빠우누(얻다) | ||||||||
버나우누(만들다), 뻐까우누(요리하다), 스파거르누(청소하다), 두누(세탁하다) | ||||||||
우트누(일어나다), 수뜨누(잠자다), 누하우누(목욕하다), 러가우누(입다), 풀깔누(벗다) | ||||||||
번누(말하다), 볼누(이야기하다), 볼라우누(부르다), 부저누(이해하다,알다) | ||||||||
찐누(사람을 알아보다), 소쩌누(생각하다), 소드누(물어보다), 뻐드누(읽다, 공부하다) | ||||||||
시까우누(가르치다), 식누(배우다), 순누(듣다), 레크누(쓰다), 데크누(보다) | ||||||||
헤르누(tv,신문을 보다), 데카우누(보여주다), 뻐르커누(기다리다), 벳뜨누(만나다, 방문하다) | ||||||||
버스누(머물다), 수루 거르누(시작하다), 석누(끝나다.~할수있다), 로꺼누(멈추다) | ||||||||
쩌뜨누(차를 타다), 딸자 콜누(자물쇠를 열다), 번더 거르누(문, 가게를 닫다) | ||||||||
섬저누(기억하다,그리워하다), 버르서누(잊다), 페르누(바꾸다), 사드누(바꾸다, 교환하다) | ||||||||
낀누(사다), 베즈누(팔다), 코즈누(찾다), 거마우누(돈을 벌다), 건누(계산하다) | ||||||||
비헤 거르누(결혼하다), 쿠시 후누(행복해지다), 마야 거르누(사랑하다), 쁘렘 거르누(사랑 | ||||||||
루누(울다), 하스누(웃다), 리사우누(화를내다), 먼뻐라우누(좋아하다) | ||||||||
러마이로 거르누(재미있어하다), 서허욕 거르누(도와주다), 꾸드누(때리다), 우드누(날다) | ||||||||
굼누(주위를 둘러보다), 버러먼 거르누(관광하다), 콜누(운동하다), 가우누(노래하다) | ||||||||
나즈누(춤을추다), 두크누(아프다), 타끄누(지치다,피곤해하다), 뻐타우누(보내다) | ||||||||
허딸 거르누(서두르다), 떠얄 거르누(준비하다), 호스 거르누(조심하다), 루끄누(숨다) | ||||||||
뿌자 거르누(빌다, 기도하다), 다드누(거짓말하다), 쪼르누(훔치다), 투꺼누(침을 뱉다) | ||||||||
서마우누(잡다), 추누(만지다), 하끄누(차를 몰다), 초드누(떠나다), 삐삽 페르누(소변보다) | ||||||||
마퍼거르누(용서하다), 텃다 거르누(농담하다), 구나소 거르누(불평하다) | ||||||||
가리 거르누(꾸짓다, 잔소리하다), 저거다 거르누(싸우다), 꾸라 거르누(말을 하다) | ||||||||
어누머띠 거르누(허가하다), 어스비깔 거르누(거절하다), 어누롯 거르누(요구하다,신청하다) | ||||||||
짓드누(이기다) | ||||||||
네팔말의 문자는 자음 36개, 모음 10개로 힌디어 알파벳을 사용하므로 문자는 인도와 같으며 | ||||||||
말 또한 80% 정도 비슷하다. 네팔어 자음의 영문표기는 반드시 ka[꺼], ta[떠], da[더], ha[허] | ||||||||
로 발음해야 한다. 네팔어 공부를 찾아보면 대부분 ka[카], ta[타], da[다], ha[하] 로 표기하는데 | ||||||||
그렇게 표현하면 발음도 틀리고 뜻도 달라지게 된다. 그 이유는 힌디어 알파벳을 모르고 영문 | ||||||||
으로 표기해서 그런데 네팔어에서 까[kaa], 따[taa], 다[daa], 하[haa] 로 표기해야 한다. | ||||||||
그리고 자음에는 반자음이 있는데 이것은 한글의 받침과 같습니다. 따라서 다음 표기에 자음만 | ||||||||
있는 것은 한글의 받침으로 보면되고 네팔어의 모든 자음은 한글과 달리 '어' 붙여 단독으로도 | ||||||||
소리를 냅니다. 그리고 비음[h=ㅎ]도 많이 쓰이는데 원래는 구분해야 됩니다. | ||||||||
명사(반자음은 오타가 아니고 한글의 반자음 처럼 가볍게 발음하면 됨) | ||||||||
아가써[하늘], 감[해,햇빛], 준[달], 따라[별], 바토[길], 서덕[도로], 뻐하-ㄷ[언덕] | ||||||||
가우[마을,고향], 너디[강], 둥가[돌], 루-ㅋ[나무], 깃-ㄷ[노래], 성깃-ㄷ[음악]- | ||||||||
건다[시간] : 한시간, 두시간 의 의미 / 버제[시간] : 오전9시, 오후 2시의 의미 | ||||||||
서머여[시간] : 보통의 시간을 총칭할때 사용(ex. 오랜시간 : 라모 서머여) | ||||||||
거르[집], 데라[방, 임대], 꼬타[방], 반사꼬타[부엌], 도까[문], 쟈-ㄹ[창문], 딸자[자물쇠] | ||||||||
사쪼[열쇠], 줏따[신발], 쩝뻘[슬리퍼], 루가[옷], 껍다[의류], 시럭[이불], 떠라[~층], 서파[청소] | ||||||||
포홀[쓰레기], 두로[먼지], 써우짜려[화장실], 벗띠[불빛], 아고[불], 비주리[전기], 빗따[벽] | ||||||||
버원[빌딩,건물], 풀[꽃], 펄풀[과일], 뿌루써[남자], 머히라[여자], 비바허[결혼], 나쩌[댄스] | ||||||||
쩍꾸[칼], 바할[집세,방세], 저나발[동물], 비숴[세계], 빠후나[손님], 끼산[농부], 바리[농장] | ||||||||
쭈롯[담배], 럭시[술], 빠니[물], 깜[일, 작업] | ||||||||
[음식 관련 단어] | ||||||||
삐토[밀가루], 카나[음식], 밧[밥], 떨까리[커리], 수꾸미[마른고기], 숭굴[돼지고기], 졸[국] | ||||||||
짜우짜우[국수], 두더[우유], 더히[요구르트], 로티[빵], 짜멀[쌀], 찌야[차], 카내구라[음식] | ||||||||
빠우로티[빵], 빠니[물], 떠르가리[야채], 두드[우유], 버러프[얼음], 마수[고기], 펄풀[과일] | ||||||||
[맛과 관련된 단어] | ||||||||
미토처[맛있다], 구리요[단맛], 삐로[매운], 어미로[시큼한], 띠또[쓴맛], 누니로[짠맛] | ||||||||
꾸히에꼬[썩은], 컬로[맛없는], 카다[먹다] | ||||||||
[색깔] | ||||||||
세또[흰색], 까로[검정색], 라또[빨강색], 니로[파란색], 뻐헤로[노란색] | ||||||||
[신체 관련 단어] | ||||||||
어누할[얼굴], 아카[눈], 낙[코], 깐[귀], 무-ㅋ[입]v따우꼬[머리], 꺼빨[머리카락], 핫-ㄷ[손] | ||||||||
고디[발], 가디[목], 차띠[가슴], 써릴[몸], 닷-ㄷ[치아], 빠쿠라[팔], 펫-ㄷ[배], 무두[마음,심장] | ||||||||
하드[뼈] | ||||||||
[채소 관련단어] | ||||||||
알루[감자], 까끄로[오이], 까우리[양배추], 쿨싸니[고추], 가절[당근], 빠룽고[시금치] | ||||||||
뺘저[양파], 퍼르시[호박], 머꺼이[옥수수], 무라[무우], 러순[마늘] | ||||||||
[과일 ] | ||||||||
엉굴[포도], 께라[바나나], 컬부자[수박], 버담[땅콩], 순떠라[오렌지], 샤우[사과] | ||||||||
[가족] | ||||||||
허줄부바[할아버지], 허줄아마[할머니], 부바/바[아버지], 아마[어머니], 까까[삼촌], 까끼[숙모] | ||||||||
초라[아들], 초리[딸], 다주바이[형제], 다이[형/오빠], 디디[언니], 바이[남동생], 버히니[여동생] | ||||||||
손자[나띠], 손녀[나띠니], 디디 버히니[자매], 스리만[남편], 스리머띠[아내], 시아버지/장인[서수라] | ||||||||
시어머니/장모[사수], 부하리[며느리], 좌이[사위], 치매키[친척], 사니마[이모], 푸뿌[고모], 구루[선생님] | ||||||||
툴로 부바[큰아버지], 사노 부바[작은아버지], 뿌루스[남자], 머히라[여자], 만체[사람], 벚짜[아이] | ||||||||
버띠자/버띠지[조카] | ||||||||
[반의어] | ||||||||
거르미[더운], 자토[추운], 따또[뜨거운], 찌소[차가운]치토[빨리], 비스따러이[천천히], | ||||||||
이만달[정직한], 어비샤시[정직하지 않는], 서지로[쉬운], 가로=업탸로[어려운, 힘든] | ||||||||
투로[큰], 사노[작은], 토러이[적은], 데러이[많은], 너야[새로운], 뿌라노[오래된] | ||||||||
머헝고[비싼], 서스또[값이싼], 포홀[더러운], 서파[깨끗한], 모토[살 찐], 둡로[야윈] | ||||||||
벼스떠[바쁜], 푸르섯[한가한], 어댜로[어두운], 우쟈로[밝은], 떠러[밑], 마티[위] | ||||||||
어가디[앞], 뻐차디[뒤], 바야[왼쪽], 다야[오른쪽], 아퍼노[자신의], 어르까꼬[남의] | ||||||||
거니[부유한], 거립[가난한], 너직[가까운], 댜다[먼], 라모[긴], 초또[짧은], 디로[늦은] | ||||||||
싸구로[좁은], 퍼라끼로[넓은], 수-ㅋ[행복한], 두-ㅋ[슬픈], 서데씨[원주민], 비데씨[외국인] | ||||||||
샷-ㅌ[건강한], 비라미[아픈, 병이든], 바히러[밖], 비떠러[안], 허룽고[가벼운], 거룽고[무거운] | ||||||||
우-ㅅ더이[비슷한], 퍼럭[다른], 틱[옳은, 맞는], 순더리[아름다운, 예쁜], 서허요기[도움이되는] | ||||||||
동사가 인칭에 따라 어미변화가 복잡하지만 형용사 부사는 처[chha]만 붙이면 술어로 활용이 | ||||||||
가능해서 아주 간단 합니다. | ||||||||
예]순더리 처[예뻐요], 라므로 처[좋아요] ,투로 처[ 커요] 비떠러 처[ 안에 있어요] | ||||||||
여기서 처를 올려서 발음 하면 의문문, 처 대신에 처이너를 붙이면 부정문이 됩니다. |
'[사람과 산] > ▒ 해외트레킹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팔어 단어 익히기 (0) | 2015.07.02 |
---|---|
네팔어 숫자 익히기 (0) | 2015.07.02 |
[스크랩] 네팔어배우기[가족호칭] (0) | 2015.07.02 |
[스크랩] 네팔어배우기[단어 모음 한국어, 네팔어, 영어] (0) | 2015.07.02 |
[스크랩] (펌)네팔어 배우기 (0) | 201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