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어 배우기

2015. 7. 2. 19:34[사람과 산]/▒ 해외트레킹 ▒

○ 네팔어 배우기
네팔어는 한국어와 말의 순서가 같아서(주어 +목적어+술어) 단어를 외워서 순서대로 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수식이나 전치사의 위치 , 조사의 용법도 거의 같다.  이렇게 쉬운데 네팔어가 배우기 
어려운 이유는 반복된 훈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외국어를 잘하는 지름길은 기본이 되는 문장을
외워서 반복된 훈련이 외국어를 잘하는 노하우라고 할 수 있다.
네팔어의 기본 문장 두가지(긍정문, 부정문, 의문문의 두가지 형식-6가지) 이 두가지 문장은 네팔
회화의 절반이라 할 수 있는데, 이 두가지 기본 문형 만으로도 기본 대화가 가능합니다. 
1. ~호?(~입니까?),  ~호(~이다), ~호이너(~아니다) 의 표현법
예문) 요 께 호?(이것은 무엇 입니까?) / 뚀 께 호?(저것은 무엇 입니까?)
*의문문은 께(무엇)라는 의문대명사가 들어가 있지만 발음은 호? 의 끝을 올려 줘야 한다.
 예문) 요(이것) / 뚀(저것) +거르(집) +호(입니다) 또는 호이너(아닙니다)
세가지 문형을 정리해 보면,
 * 요   끼답   호 ^  ?   ( 이것은 책 입니까?) - 의문문
 * 요   끼답            (이것은  책 입니다.) - 긍정문
 * 요   끼답   호이너   (이것은  책이 아닙니다.) - 부정문
꼬따(방), 도까(문), 졸라(가방), 루가(옷), 줏따(신발), 끼답(책), 까삐(공책), 꺼럼(펜), 
테불(테이블, 탁자), 메쪄(의자), 거띠(시계)
2. 처(chha, ~있다 )  / 처이너(chhaina, ~없다) 의 표현법
* 영문 표기에 맞춰 chha - 차, chhaina - 차이나 라고 하면 잘 못 알아 듣는다. a 의 발음은 '어' 로
발음 해야하고 '아' 의 영문 표기는 aa 나 a 위에 물결 표시가 있는것을 '아' 로 발음하기 때문이다.
처 / 처이너 는 두가지 의 뜻이 있는데 
...소유(~가지고 있다) 를 나타내는 의미와 / ...위치(~에 있다)  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임.
예문)  메로(나의)/떠바잉꼬(너의) 거르(집)  마(에) 초라(아들) 처(있다) / 처이너(없다)
뿌르스(남자), 머히라(여자), 사람(만체), 선생님(구루), 초라(아들), 초리(딸), 부바(아버지), 
아마(어머니), 시리만(남편), 시리머티(아내), 바이(남동생), 버히니(여동생), 다주(형), 벚짜(아이)
# 의문 대명사
께(무엇), 꺼하(어디), 꺼히레(언제), 꼬(누구), 꺼띠(얼마), 끼너(왜)
*의문 대명사가 없는 말의 의문문을 만들려면 처 /처이너 의 끝을 올려 주면 된다.
예를 들면
* 메로 거르 꼬리야마 처(나의 집은 한국에 있습니다)
* 메로 거르 꼬리야마 처이너(나의 집은 한국에 없습니다)
* 떠바잉꼬 거르 꼬리야마 처?(당신의 집은 한국에 있습니까?)
의문 대명사를 이용해서 문장을 만들어 보면 
떠바잉꼬 거르마 꺼하 처?(당신의 집은 어디에 있습니까?)
우하꼬 졸라마 께 처?(그의/그녀의  가방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뻐설(가게), 빠니(물), 찌니(설탕), 눈(소금), 서스또(값이 싼), 머헝고(값이 비싼)
따또(뜨거운), 찌소(차가운) 등을 넣어서 문장을 만들수 있다.
앞에서 말했듯이 네팔어 문장의 순서, 꾸밈(수식)은 한국어와 거의 같다.
주로 술어로 사용되는 동사의 변화(국문법에서는 동사의 활용)에 대해서 알아 보자.
동사의 변화는 같은데 각각의 인칭에 따라 변하기때문에 한국어와는 좀 다르다. 유일하게 다른
부분은 다음과 같다.
각각의 인칭, 1인칭(나), 1인칭복수형(우리), 2인칭(당신, 너), 3인칭(그, 그녀)에 따라 동사가 다르게
활용되고 현재형/현재부정형, 과거형/과거부정형, 미래형/미래부정형에 따라서도 다르다.
1. 현재형과 현재부정형
예)  머(나는) + 아저(오늘) + 포카라마(포카라에) + 버스추(있어요. 머물러요)
여기서 1인칭 머(나는), 버스누(머물다)에서 "누"를 제외하면 버스추(머물러요)->버세(머물렀어요)
->버스네추(머물것입니다) 로 바뀝니다.
1인칭 현재형 / 현재 부정형
  어히레  포카라마  버스추/버스디너(나는 지금 포카라에 머물러요/머물지 않아요)
1인칭 복수인칭 현재형 / 현재 부정형
하미  어히레  포카라마 버스춰우/버스더이너우(우리는 지금 포카라에 머물러요/머물지 않아요)
버스누+춰우 / 버스누+더이너우 : 동사원형에서 "누"를 없애고 활용함. 하미허루(우리들은)
2인칭과 3인칭
떠바이 어히레 꺼하 버스누훈처 / 버스누훈너(당신은 지금 어디에 머물러요?)
우하 어히레 꺼하 버스누훈처 / 버스누훈너 (그/그녀는 지금 어디에 머물러요?)
* 2, 3인칭에서 높임표현(떠바이/우하), 보통표현(띠미/우니), 낮춤표현(떠/우) 가 있고, 이 또한
어미변화가 다른데 남성 여성에 따라 또 달리 표현 하기 때문에 조금 복잡하다.
 
2. 과거형과 과거 부정형
1인칭
머 히조 너야버잘마 버세/버시너 (나는 어제 너야버잘에 머물렀어요)
* 버스누(동사원형)+ 에(1인칭 과거형 접미사)=버세, 버스누+이너(과거 부정형)=버시너
1인칭 복수형
하미 히조 너야버잘마 버 셔우/버세너우 (우리는 어제 너야버잘에 있었어요/있지 않았어요)
버스누(동사원형)+여우(1인칭 복수 과거접미사)=버셔우, 버스누+에너우=버세너우
*하미허루(우리들), 떠바이허루(당신들), 우하허루(그/그녀들)
2인칭과 3인칭
떠바이 꺼히레 카트만두마 버스누버요/버스누버에너
(당신은 언제 카트만두에 머물렀어요? /머물지 않았어요?)
우하허루 꺼히레 사띠성거이 카트만두마 버스누버요?/버스누버에너?
(그들은 언제 친구와 함께 카트만두에 머물렀나요?/떠났나요?)
3. 미래형과 미래부정형
1인칭
머 볼리 룸비니마 자네추/자네처이너 (나는 내일 룸비니에 갈것이다/안갈것이다)
(자누-가다의 동사원형+네추-1인칭 미래형 접미사, 자누+네처이너-1인칭미래 부정접미사)
1인칭 복수형
하미 볼리 사띠성거이 담푸스마 자네처우 (우리는 내일 친구와함께 담푸스에 갈것이다)
2인칭과 3인칭
떠바이 볼리 담푸스마 자누훈네처 (당신은 내일 담푸스에 갈것이다)
우하  볼리 머 성거이 호텔마 자누훈네처/자누훈네처이너(그녀는 내일 나하고 호텔에 갈것이다)
* 각각의 인칭별 동사의 어미 변화는 한국어는 인칭에 따른 변화는 없지만 네팔어는 그렇지 않다
 
4. 현재 진행형
한국어에서 ~하고 있다. 영어에서의 동사+ing형, 네팔어에서는 동사원형+더이+접미사 형식이다.
1인칭
  어히레  꼬따마  버스더이추/버스더이처이너 (나는 지금 방에 머물고 있어요/있지않아요)
1인칭 복수형
하미 어히레 호텔마 버스더이처우/버스더이처이너우
(우리는 지금 호텔에 머물고 있어요/있지 않아요)
*버스누(동사원형)+더이(진형형)+처우(복수형접미사)/처이너우(복수형부정접미사)
2인칭과 3인칭
떠바이 어히레 꾼 호텔마 버스더이 후누훈처/후누훈너?
(당신은 지금 어떤 호텔에 머물고 계십니까?)
우하(그/그녀)의 문장도 떠바이(당신) 과 같다.
자세히 살펴보면 각 인칭별 접미사 변화와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 그리고 현재진행형에
일정한 규칙이 있음을 알수 있다. 이것은 네팔어 문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기본이다.
동사원형에 각인칭의 변화를 적용하므로 동사의 원형 암기는 중요(현재형 과거형 미래형 포함)
* 거르누(~하다)의 예를 들면
1인칭
거르추(현재형)-거레(과거형)-거르네추(미래형)-거르더이추(현재진행형)
1인칭 복수형
거르처우(현재형)-거려우(과거형)-거르네처우(미래형)-거르더이처우(진행형)
2인칭과 3인칭
거르누훈처(현재형)-거르누버요(과거형)-거르누훈네처(미래형)-거르더이후누훈처(진행형)
* 하나만 예를 들고 나머지는 동사원형만 적도록 하겠습니다.
자누(가다), 아우누(오다), 히드누(걷다), 더우드누(뛰다)
디누(주다), 리누(받다), 랴우누(가져오다), 직누(집다), 빠우누(얻다)
버나우누(만들다), 뻐까우누(요리하다), 스파거르누(청소하다), 두누(세탁하다)
우트누(일어나다), 수뜨누(잠자다), 누하우누(목욕하다), 러가우누(입다), 풀깔누(벗다)
번누(말하다), 볼누(이야기하다), 볼라우누(부르다), 부저누(이해하다,알다)
찐누(사람을 알아보다), 소쩌누(생각하다), 소드누(물어보다), 뻐드누(읽다, 공부하다)
시까우누(가르치다), 식누(배우다), 순누(듣다), 레크누(쓰다), 데크누(보다)
헤르누(tv,신문을 보다), 데카우누(보여주다), 뻐르커누(기다리다), 벳뜨누(만나다, 방문하다)
버스누(머물다), 수루 거르누(시작하다), 석누(끝나다.~할수있다), 로꺼누(멈추다)
쩌뜨누(차를 타다), 딸자 콜누(자물쇠를 열다), 번더 거르누(문, 가게를 닫다)
섬저누(기억하다,그리워하다), 버르서누(잊다), 페르누(바꾸다), 사드누(바꾸다, 교환하다)
낀누(사다), 베즈누(팔다), 코즈누(찾다), 거마우누(돈을 벌다), 건누(계산하다)
비헤 거르누(결혼하다), 쿠시 후누(행복해지다), 마야 거르누(사랑하다), 쁘렘 거르누(사랑
루누(울다), 하스누(웃다), 리사우누(화를내다), 먼뻐라우누(좋아하다)
러마이로 거르누(재미있어하다), 서허욕 거르누(도와주다), 꾸드누(때리다), 우드누(날다)
굼누(주위를 둘러보다), 버러먼 거르누(관광하다), 콜누(운동하다), 가우누(노래하다)
나즈누(춤을추다), 두크누(아프다), 타끄누(지치다,피곤해하다), 뻐타우누(보내다)
허딸 거르누(서두르다), 떠얄 거르누(준비하다), 호스 거르누(조심하다), 루끄누(숨다)
뿌자 거르누(빌다, 기도하다), 다드누(거짓말하다), 쪼르누(훔치다), 투꺼누(침을 뱉다)
서마우누(잡다), 추누(만지다), 하끄누(차를 몰다), 초드누(떠나다), 삐삽 페르누(소변보다)
마퍼거르누(용서하다), 텃다 거르누(농담하다), 구나소 거르누(불평하다)
가리 거르누(꾸짓다, 잔소리하다), 저거다 거르누(싸우다), 꾸라 거르누(말을 하다)
어누머띠 거르누(허가하다), 어스비깔 거르누(거절하다), 어누롯 거르누(요구하다,신청하다)
짓드누(이기다)
네팔말의 문자는 자음 36개, 모음 10개로 힌디어 알파벳을 사용하므로 문자는 인도와 같으며 
말 또한 80% 정도 비슷하다. 네팔어 자음의 영문표기는 반드시 ka[꺼], ta[떠], da[더], ha[허] 
로 발음해야 한다. 네팔어 공부를 찾아보면 대부분 ka[카], ta[타], da[다], ha[하] 로 표기하는데 
그렇게 표현하면 발음도 틀리고 뜻도 달라지게 된다. 그 이유는 힌디어 알파벳을 모르고 영문
으로 표기해서 그런데 네팔어에서 까[kaa], 따[taa], 다[daa], 하[haa] 로 표기해야 한다.
그리고 자음에는 반자음이 있는데 이것은 한글의 받침과 같습니다. 따라서 다음 표기에 자음만  
있는 것은 한글의 받침으로 보면되고 네팔어의 모든 자음은 한글과 달리 '어' 붙여 단독으로도 
소리를 냅니다. 그리고 비음[h=ㅎ]도 많이 쓰이는데 원래는 구분해야 됩니다.
명사(반자음은 오타가 아니고 한글의 반자음 처럼 가볍게 발음하면 됨)
아가써[하늘], 감[해,햇빛], 준[달], 따라[별], 바토[길], 서덕[도로], 뻐하-ㄷ[언덕]
가우[마을,고향], 너디[강], 둥가[돌], 루-ㅋ[나무], 깃-ㄷ[노래], 성깃-ㄷ[음악]-
건다[시간] : 한시간, 두시간 의 의미 / 버제[시간] : 오전9시, 오후 2시의 의미
서머여[시간] : 보통의 시간을 총칭할때 사용(ex. 오랜시간 : 라모 서머여)
거르[집], 데라[방, 임대], 꼬타[방], 반사꼬타[부엌], 도까[문], 쟈-ㄹ[창문], 딸자[자물쇠]
사쪼[열쇠], 줏따[신발], 쩝뻘[슬리퍼], 루가[옷], 껍다[의류], 시럭[이불], 떠라[~층], 서파[청소]
포홀[쓰레기], 두로[먼지], 써우짜려[화장실], 벗띠[불빛], 아고[불], 비주리[전기], 빗따[벽]
버원[빌딩,건물], 풀[꽃], 펄풀[과일], 뿌루써[남자], 머히라[여자], 비바허[결혼], 나쩌[댄스]
쩍꾸[칼], 바할[집세,방세], 저나발[동물], 비숴[세계], 빠후나[손님], 끼산[농부], 바리[농장]
쭈롯[담배], 럭시[술], 빠니[물], 깜[일, 작업]
[음식 관련 단어]
삐토[밀가루], 카나[음식], 밧[밥], 떨까리[커리], 수꾸미[마른고기], 숭굴[돼지고기], 졸[국]
짜우짜우[국수], 두더[우유], 더히[요구르트], 로티[빵], 짜멀[쌀], 찌야[차], 카내구라[음식]
빠우로티[빵], 빠니[물], 떠르가리[야채], 두드[우유], 버러프[얼음], 마수[고기], 펄풀[과일]
[맛과 관련된 단어]
미토처[맛있다], 구리요[단맛], 삐로[매운], 어미로[시큼한], 띠또[쓴맛], 누니로[짠맛]
꾸히에꼬[썩은], 컬로[맛없는], 카다[먹다]
[색깔]
세또[흰색], 까로[검정색], 라또[빨강색], 니로[파란색], 뻐헤로[노란색]
[신체 관련 단어]
어누할[얼굴], 아카[눈], 낙[코], 깐[귀], 무-ㅋ[입]v따우꼬[머리], 꺼빨[머리카락], 핫-ㄷ[손]
고디[발], 가디[목], 차띠[가슴], 써릴[몸], 닷-ㄷ[치아], 빠쿠라[팔], 펫-ㄷ[배], 무두[마음,심장]
하드[뼈]
[채소 관련단어]
알루[감자], 까끄로[오이], 까우리[양배추], 쿨싸니[고추], 가절[당근], 빠룽고[시금치]
뺘저[양파], 퍼르시[호박], 머꺼이[옥수수], 무라[무우], 러순[마늘]
[과일 ]
엉굴[포도], 께라[바나나], 컬부자[수박], 버담[땅콩], 순떠라[오렌지], 샤우[사과]
[가족]
허줄부바[할아버지], 허줄아마[할머니], 부바/바[아버지], 아마[어머니], 까까[삼촌], 까끼[숙모]
초라[아들], 초리[딸], 다주바이[형제], 다이[형/오빠], 디디[언니], 바이[남동생], 버히니[여동생]
손자[나띠], 손녀[나띠니], 디디 버히니[자매], 스리만[남편], 스리머띠[아내], 시아버지/장인[서수라]
시어머니/장모[사수], 부하리[며느리], 좌이[사위], 치매키[친척], 사니마[이모], 푸뿌[고모], 구루[선생님]
툴로 부바[큰아버지], 사노 부바[작은아버지], 뿌루스[남자], 머히라[여자], 만체[사람], 벚짜[아이]
버띠자/버띠지[조카]
[반의어]
거르미[더운], 자토[추운], 따또[뜨거운], 찌소[차가운]치토[빨리], 비스따러이[천천히],
이만달[정직한], 어비샤시[정직하지 않는], 서지로[쉬운], 가로=업탸로[어려운, 힘든]
투로[큰], 사노[작은], 토러이[적은], 데러이[많은], 너야[새로운], 뿌라노[오래된]
머헝고[비싼], 서스또[값이싼], 포홀[더러운], 서파[깨끗한], 모토[살 찐], 둡로[야윈]
벼스떠[바쁜], 푸르섯[한가한], 어댜로[어두운], 우쟈로[밝은], 떠러[밑], 마티[위]
어가디[앞], 뻐차디[뒤], 바야[왼쪽], 다야[오른쪽], 아퍼노[자신의], 어르까꼬[남의]
거니[부유한], 거립[가난한], 너직[가까운], 댜다[먼], 라모[긴], 초또[짧은], 디로[늦은]
싸구로[좁은], 퍼라끼로[넓은], 수-ㅋ[행복한], 두-ㅋ[슬픈], 서데씨[원주민], 비데씨[외국인]
샷-ㅌ[건강한], 비라미[아픈, 병이든], 바히러[밖], 비떠러[안], 허룽고[가벼운], 거룽고[무거운]
우-ㅅ더이[비슷한], 퍼럭[다른], 틱[옳은, 맞는], 순더리[아름다운, 예쁜], 서허요기[도움이되는]
동사가 인칭에 따라 어미변화가 복잡하지만 형용사 부사는 처[chha]만 붙이면 술어로 활용이
가능해서 아주 간단 합니다.
예]순더리 처[예뻐요], 라므로 처[좋아요] ,투로 처[ 커요] 비떠러 처[ 안에 있어요]
여기서 처를 올려서 발음 하면 의문문, 처 대신에 처이너를 붙이면 부정문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