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스키대회 경기 요령

2009. 2. 19. 09:04[사람과 산]/▒ 스 키 등 반 ▒

>> 산악스키대회 경기 요령 <<

 

1. 숙소에 푹 자고 나서 아침 일찍 일어나 간단히 아침(반찬이 별 필요 없는 일제 알파미 팥반이나
미역반과 맛 김으로 식사)을 먹고 500cc정도의 식수와 간식(파워젤이 좋음)을 2개 정도 준비하여
최대한 배낭을 가볍게 꾸린다.(필히 발바닥 뒤꿈치 안쪽에 세컨 스킨 테이프를 부착할 것)

 

2. 아침에 숙소에서 미리 스킨 씰을 스키에 부착하고 스키 폴 길이를 자신의 가슴 높이까지 조정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주최측에서 지급한 장비 및 규정상 장비를 일부 착용하고 일부는 배낭에 넣어 집결
지에 집결한다.

 

  가. 스키장비

  스키패널, 스키 폴, 스킨 씰, 산악스키 부츠

 

  나. 복장

  상의 : 속 건성 내의, 파워스트레치상의(또는 파일자켓), 오버자켓
  하의 : 파워스트레치하의(또는 파일바지), 오버트라우저, 고소내의(추울 때 착용)

 

  다. 일반 장비

  소형배낭, 헤드랜턴, 방한모자, 장갑, 스키고글, 선글라스, 물통&보온커버, 간식
  주최측에서 제공하여 필수 착용을 지시하는 장비

 

3. 주최측에서 배포하는 장비 확인 스티커와 번호표를 지정된 부위에 부착하고 대기라인에서

기다린다.

 

4. 출발 신호가 떨어지면 선두 그룹은 뛰어 나가지만 자기 페이스대로 가는 것이 훨씬 더 효율
적이다.

 

5. 통상 출발점에서 약 100m 정도 진행하면 오르막 구간이 시작되는데 초반부터 너무 힘을 빼지
않아야 후반에 힘을 쓸수 있다.

 

스킨 씰을 부착하고 업힐 중에 설면이 크러스트되어서 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슬로프 경사면과 스킨 씰 표면이 일치하도록 약간 무릎을 계곡
쪽으로 엥귤레이션(무릎을 산 아래쪽으로 기울임)을 주면서 올라가면 효과적이다.

 

6. 급경사 구간이 지나면 다시 완만한 구간이 나타나는데 계속 대회 코스를 잘 확인하면서 올라
간다.(중간 중간에 안내 요원이 있음)

 

7. 오르막 구간이 끝나는 곳에 도착하면 기록 체크 요원이 있는데 제한 시간을 초과하면 실격처
리 된다. 그 곳에서 체크를 하고 최대한 신속하게 스킨 씰을 떼어 가슴속에 품고 스키 바인딩과
부츠를 다운힐 모드로 변환하여 바로 다운힐을 시작한다.

 

이 일련의 동작은 최소한 5분 안에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스킨 씰을 제거하기 전에 반드시 바인딩
을 스킹모드로 전환해 두어야 스키가 미끄러져서 슬로프 아래로 날라가는 낭패를 당하지 않는다.
(실제 지난해 대회 때 그 실수로 말미암아 최소 5~10명이 나를 추월해서 감)

 

8. 다운힐 구간에서는 자신의 능력 범위 안에서 턴을 최소화하고 가능한 짧은 턴으로 최대한 빠
르게 내려간다.

 

9. 다운힐 끝 부분 중간 체크 지점에 도착하여 번호를 체크한 후 신속하게 물을 한 모금 한 후
다음 오르막 구간을 통과하기 위하여 최대한 신속한 동작으로 스킨 씰을 부착한다. 이 때 스킨이
찬 공기에 노출되어 얼거나 하면 스키 플레이트에 잘 부착되지 않아서 아주 곤욕을 치르곤 하므
로 반드시 스킨 씰을 얼지 않도록 가슴 품 속에 보관해야 한다.

 

10. 통상 두 번째 오르막 구간 중간 쯤에서 스킨 씰을 떼고 스키를 배낭에 메고 걸어서 올라가는
테크니컬 구간이 있는데 이 때도 스킨 씰을 떼기 전에 반드시 바인딩 모드를 다운힐 모드로 전환
하여 스키가 미끄러져 도망가는 실수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11. 테크니컬 오르막 구간이 끝나면 통상 또 다시 짧은 다운힐 구간이 나타나는데 그 구간이 끝
나면 가장 힘든 마지막 오르막 구간이 시작된다. 보통 이 마지막 구간은 발왕산 정상부에 있는
드레곤 피크까지 연결되는데 가장 길고 지루한 구간을 스킨 씰을 붙이고 올라가야 하는데 체력
소모가 가장 많은 구간이므로 물도 한 모금 마시고 간식도 먹으면서 이동 한다.

 

12. 정상부 체크 포인트에 도착하여 체크 후 신속하게 스킨 씰을 제거하고 스키와 부츠를 다운힐
모드로 전환한 후 곧 바로 다운 힐을 시작한다. 이 구간은 아주 긴 구간이므로 자신의 실력 내에서
최대한 빠르게 다운 힐을 해야 기록을 단축시킬 수 있다.

 

13. 마지막 도착 구간에 가까워지면 결승선 아치가 보이고 운영진과 심판들이 보이는데 끝까지
빠른 속도를 유지하며 통과한다.

 

14. 이번 대회의 총 구간 거리는 남자 엘리트 코스가 24km 이고 여자 엘리트 코스가 15km이며,
남자 마스터즈 코스는 15km, 여자 마스터즈 코스는 10km 이다. 단, 시상은 엘리트 코스만 하며,
코스에 관계없이 완주한 선수에게는 기념메달을 지급한다.

 

15. 중간 중간 스킨 씰을 떼고 붙이고 워킹모드에서 스킹모드로 전환하는 포인트에서 최대한
신속한 동작으로 움직여야 기록을 단축 시킬 수 있으며, 실제로 업힐 구간은 전 구간 거리의
절반 정도 된다고 보면 무난하다.

 

16. 실제 대회에서 보면 일부 참가자들은 프루그 보겐도 겨우 하는 선수들도 더러 있으므로
자신의 실력에 대해 너무 의기소침할 필요는 없으며 경사가 조금 급한 곳은 프루그보겐 턴을
길게 하면서 속도를 조절하며 다운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