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4. 17:59ㆍ[사람과 산]/▒ 등 산 지 식 ▒
|
1. 등산 천국, 대한민국 우리나라의 지형은 산이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높은 산도 있지만 야트막한 산들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우리의 산은 오랜 세월동안 우리의 삶과는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친근하고 가깝다. 소위 산악국가라는 나라들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외국의 산은 험하고 통상 평지에 도읍하는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접근하기가 어렵고 산에 가고 싶으면 마음먹고 두 세 시간 정도 차를 타고 나 가야만 산을 구경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세계 어느 도시를 가더라도 공원에서나 녹지를 구경하는 정도에 그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서울에는 바로 발치에 북한산이라는 국립공원이 있다. 산에 가고 싶다면 언제나 대중교통을 이용해 산에 도달할 수 있는 그야말로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 땅은 어딜 둘러보나 "오르기" 쉽고, "오르기" 좋은 산 천지이다. |
2. 등산이 좋은 이유 첫째 등산은 신체의 건강에 좋다. 등산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의 하나이다. 사실 우리 몸의 대부분은 활동하는데 적합하게 되어있다. 현 대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운동량이 줄어들고 여러가지 질병들이 생기지만 기실 대부분의 병들은 신체 활동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로부터 걷는 것 이상으로 건강에 좋은 것이 없다고 하였다. 바쁜 일정으로 시간 관계상 실내체육관에서 하는 운동도 도움에 되겠지만 산에서 맑은 공기를 호흡하면 서 온몸으로 움직이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런 사실을 모두 잘 알고 있지만 문제는 실천하지 못하는데 있는 것으니 우선 야외로 나가볼 일이다. 머리보다는 몸이 먼저 움직이는 것이 건강 에는 최고의 보약이다. 둘째 등산은 마음의 건강에 좋다. 등산으로 하면서 보게 되는 아름다운 자연과 깨끗한 공기는 심리적인 안정을 가져다주며 스트레스로 고 통 받는 사람들에게 재충전의 기회를 준다. 또 가장 건전한 취미 생활 중 하나로 다양한 사람들을 산행 중 만날 수도 있다. 자로고 산에서 만나는 사람치고 좋지 않은 사람이 없다고 하지 않았던가. 도심의 매연과 "일상"의 삶에 지친 이들이여, 지금 가벼운 차림으로 "산"을 오르자. 코 속으로 스미는 차가운 산 공기와 은근히 풍기는 풀냄새와 솔향기가 기다리고 있다. |
3. 등산의 첫걸음 "걷기", 보행법(步行法) 기초 익히기 등산은 걷는 동작이 기본이다. 암벽이나 설벽 그리고 빙벽을 타는 것도 걷기의 연장선상에 있다. 모든 동작이 그렇듯이 걷는 것도 자 세가 좋아야 한다. 우선 거울을 보고 서 있는 자세부터 확인하고 교정해야 한다. 한쪽으로 머리가 기울어져 있거나 어깨가 처지고 등이 굽은 자세인 경우, 중력의 수직선을 이루지 못해 힘이 한쪽으로 쏠려 균형을 잡기가 힘들고 피로가 빨리 온다. 걷기 전에 다음과 같은 자세를 취해 보도록 하자. |
|
|
|
'[사람과 산] > ▒ 등 산 지 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영상] 등반 상식 (0) | 2007.06.04 |
---|---|
[스크랩] 호흡법 익히기와 등산시 주의사항 (0) | 2007.06.04 |
[스크랩] 미니 등산백과 (0) | 2007.06.04 |
[스크랩] 물과 행동식의 섭취법 (0) | 2007.06.04 |
[스크랩] 여름(우중) 산행 의 필수 지식 (0) | 2007.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