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5. 31. 12:31ㆍ[사람과 산]/▒ 등 산 지 식 ▒
등산을 하는 데 지도나 나침반이 없이 행동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다. 특히 등산을 계획하고 일정을 짜는 데에는 지도 없이는 불가능하다. 지도상에서 막영할 곳을 정하고 등산 루트를 세워야 한다. 또한 등산하는 동안에도 계획된 코스를 거듭 검토 대조하며 올라가야 한다. 산길은 꼭 정확하게 나타나 있는 법이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의 산길을 벗어나 행동할 때도 있다. 그밖에 산에서는 예기치 않은 기상변화에 부닥치게 된다. 짙은 안개가 끼여서 갈 길을 잃고 당연히 있어야 할 산길이 깊은 폭설로 분간하기 어려울 때 지도는 지표를 가리켜 준다.
따라서 지도는 계획에서부터 신중한 검토를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고 미리부터 지도 읽는 법을 익숙하게 알아두어야 한다. 아무리 지도를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기의 위치를 지도에서 찾아내고 방위를 판정할 줄 모르면 지도는 무용지물 된다. 그러므로 지도나 나침반을 이용하여 방위 판정과 자기 위치 확인을 정확히 할 수 있게 연습해 두어야 한다. 독도법이란 이와 같이 지도를 관찰하여 자연경관과 인문현상을 정확히 판독할 수 있는 방법이다.
1. 지도의 정의
지구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여러 가지 기호, 선, 색깔, 형태로서 표시하여 평면상에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2. 지도의 종류
지도에는 일반적으로 지질도, 해류도, 인구 분포도 등 특수한 목적을 위해 제작 한 목적도와 일반도인 지형도로 나뉜다.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발간하여 항공 사진 측량에 의해서 제작되며 우리 나라 국토 기본도는 1:25,000이다. 산행에 있어 서 관광용으로 만든 등산 개념도, 등산 안내도 등이 있으나 한낱 참고자료로 이 용될 뿐이고 등산에 필수적인 것은 1:25,000 또는 1:50,000 지형도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것이다. 특히 오리엔티어링에 사용하는 지도는 정밀도가 높은 1:25,000을 사용하고 있고, 외국의 경우에는 오리엔티어링을 위해 특수 제작한 1:15,000,1:10,000,1:2,000,1:1,000 등의 정밀도가 높은 지도가 사용되고 있다.
3. 지도의 구성과 난의 주기
지형을 그린 지도만으로는 지도를 읽기에 불편을 느끼므로 지도에 갖추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도면의 여백에다 기재하게 되데 이를 난의 주기라 한다.이는 지 도에 대한 제작자의 설명서와 마찬가지 역할을 한다.
가. 난외 주기의 종류
1) 도엽명:지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통상 지도상에 있는 가장 큰 도시명을 기입 한다.(예:서울,안양,의정부 등)
2) 축척 및 도표 축척 : 지도의 축척은 지상거리와 지도상거리의 대조를 표시 한다.
3) 설명문:제작기관,제작년도,등고선 간격,기준면
4) 좌표:경위도 및 UTM
5) 편각도표:진북,도북,자북의 관계를 표시한 것
6) 인근도엽명:인근 지도의 도엽명을 표시한 것
7) 기호:지형지물을 기호로 표시한다. 이 기호는 각종 지형도에 자세한 설명이 있으므로 이를 참고로하여 정확히 지도를 읽어야 한다.
나. 지도에서의 색깔
1) 흑색:대다수의 문화적 또는 인공적 지물
2) 청색:호수,간,늪과 같은 배수 관계
3) 녹색:수림,과수원 및 포도원 같은 식물 관계
4) 갈색:기복 및 고저
5) 적색:주요 도로 밀집된 건물,지역 및 특수 지물
6) 때때로 특수사항을 표기하기 위해서 기타의 색깔을 사용하는 수가 있는데 이것은 난의 주기에 표시한다. (예:orienteering지도에서 출입금지 구역과 난이지역등)
4. 좌표
좌표는 지구 표면의 추상적으로 그어진 종횡선으로 지리 좌표가 군사좌표로 이 용하는 격자 좌표의 2가지가 있다.
가. 지리 좌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것으로 지구 표면에 일련의 동서로 연하는 동근원(적도와 평행하게)과 적도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양극에 모이는 일련의 남북을 연하 는 근원을 그림으로써 지구상의 어떠한 지점이라도 그 지점의 위치을 결정할 수 있는 망을 형성하게 된다.이것을 각각 위도와 경도라고 하며 읽는 방법은 위도를 먼저 읽고, 경도를 다음에 읽는다. 예를 들면 서울교육원의 위치는 북위 37 34' 25" 동경 126 58' 12"라고 읽는다.
나. 군사 좌표
군사좌표는 군사지도의 제작을 위해 설립되며 나라에 따라서 다른 세사법을 채 택하고 있으나 지리 좌표를 그 근거로 채택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미국에서 채택 한 UTM을 사용하고 있다.
5. 축척과 거리
지구를 그릴 때 실제 거리를 일정한 크기로 줄이는 비율을 축척이라 하며 분수 또는 대수로 표시한다.
가. 축척의 대소
1) 대축척 지도:1:25,000,1:50,000등 1:100,000 이상의 지도로 자세한 지도
2) 중축척 지도:1:10만~1:100만 줄인 지도로 계시용,교육용,전략용 지도가 이 에 속한다.
3) 소축척 지도:1:100만 보다 작게 줄인 지도로 지ㄹ리 부도에 실려있는 뽀통 의 지도가 이에 속한다.
나. 축척과 실제거리
거리는 실제 지표상의 거리인 실제 거리와 지도상의 거리인 도상 거리의 두가지가 있으며 두 가지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축척 = 지도상의거리 / 실제의 거리
실제로 등산하는 등산로는 직선이 아니고 꾸불꾸불하며 평면이 아니고 경사 와 기복으로 변화하므로 지도상에서 측정한 거리보다 훨씬 길어질 것이다. 따라 서, 지도와 실제 지형과의 비교 등으로 추정하는 데 평면으로 잰 거리에 경사정 도를 지형에 따라 가산하여야 한다.
6. 등고선과 고도
고도는 평균해수면을 기준면으로 접하고 이 기준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M로 표시한다. 우리 나라는 인천 앞 바다의 평균해수면을 기준면으로 잡고있다. (우리 나라의 수준원점은 26,6871M로 인천 인하대학교 내에 있음)
가. 고도 표시법
높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있는 데 이는 지도의 제작목적과 기술 에 따라 달라지며 대개 등고선식, 채단시그우모식, 음영식 등이 있는 데, 등고선식은 수평면에서 높이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곡선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대축척 지도에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높이의 표현방법이다.
나. 등고선
등고선은 해수면으로부터 높이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매곡선으로 간격이 좁 을수록 경사가 급하고 간격이 넓을수록 경사가 완만하며, 낮은 쪽으로 내만 곳 이 능선이 되고, 높은 쪽으로 들어간 곳이 골짜기가 된다. 등고선의 종류는 다음 과 같다.
등고선의 종류 ( 단위 : m )
축척 종류 |
계곡선 |
주곡선 |
간곡선 |
조곡선 |
1:250,000 |
500 |
100 |
50 |
. |
1: 50,000 |
100 |
20 |
10 |
5 |
1: 25,000 |
50 |
10 |
5 |
2.5 |
모양 |
굵은 실선 |
가는 실선 |
파선 |
점선 |
다. 경사도
경사를 이루고 있는 부분의 수평거리에 대한 경사의 최저점과 최고점과의 고도차 즉, 수직거리의 정도를 경사도라고 하는 데 경사도의 표시는 %법, 도수 법, 분수법 등이 있는 데 %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법은 수평거리 100M에 대한 수직거리를 말한다.
7. 방향
방향이라고 하는 것은 동, 서, 남, 북과 전, 후, 좌, 우 등을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자 기의 진로를 찾거나 목표로 하는 지점을 찾을 때 또는 자기의 현재 위치를 찾은 때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가. 방향의 종류
방향에는 지리적 방향과 정밀한 방향의 두 가지 종류가 있는 데 지리적 방향 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동서남북을 세분하여 16개의 방향으로 나눈 것이며 정밀 한 방향은 항상 필요로 하는 방향을 항상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는 방향을 말한다.
정밀한 방향에는 방향의 일주를 360도로 하는 도각법과 6400mm를 기준으로 하는 밀리각법이 있는 데 mm와 도수와의 관계로 360도는 6400mm 즉, 1도는 17.8mm이다.
나. 기본방향
방향의 측정을 위한 기점으로 보통 북쪽이라고 하지만 북은 진북, 자북, 도북 의 3종류가 있다.
1) 진북: 지도 제작상 정해진 북으로 세계 공통이며 북극성의 방향 또는 지리 좌표의 경선의 윗쪽 방향을 말한다.
2) 자북: 자침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북극점과는 다른 캐나다 동쪽의 허드슨만의 북쪽에 있는 자북 점을 자침이 가리킨다.
3) 도북: 지구상의 일정한 지점을 기준으로 그어 놓은 격자 좌표의 북쪽 방향으로 군사 지도에 쓰인다. (GN,Y로 표시)
다. 방위각
북쪽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바늘이 도는 방향(오른쪽 방향)으로 측정한 예 정지점까지의 수평각으로서, 진북 방위각은 진북 방향을, 자북 방위각은 자북 방향을 기본 방향으로 하였을 때의 방위각이다.
후퇴 방위각은 반대 방향의 방위각이다. 방위각으로부터 후퇴 방위각을 얻으려 면 방위각이 180°이하일 경우에도 180° 더하고, 180°이상일 경우에는 180 ° 를 빼준다.
*(예) 방위각 112°일때 후퇴 방위각은 112°+180°=292°
라. 편자각
지도 사용자가 지도를 정확하게 정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 대부 분의 대축척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데 진북, 자북, 도북의 3개의 기본 방향간의 *는 각도차로서 진북과 도북간의 차이를 도편각, 자북과 도북간의 차이를 GM각(도자각), 진북과 자북과의 차이를 자편각이라 한다. 우리가 지도에서 사용해야 하는 것은 GM각으로 매년 우리나라에서는 불규칙하게 1°~1.5° 씩 서쪽으로 변하고 있다. 참고적으로 우리나라의 GM각은 남에서 북으로 갈 수록 증가하는데 서편각 5.5~8.5이다.
8. 나침반
나침반에는 렌즈식 나침반, 팔목 나침반, 포병 나침반, 실버 나침반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가 등산 또는 오리엔티어링 대회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실버 나침반이다.
가. 나침반의 유래
B.C. 1500년경 중국에서 자석이 쇠를 끌어당기는 것을 알고 있었던 듯하나 북 쪽을 가리키고 있다는 사실은 모르고 있는 듯하다. 그후 A.D.300년경 자석의 자 북성을 발견하였고 이 무렵에 항해에도 사용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이 최초의 자남침이라 불리우게 되고 물에 뜨게 만든 지남에도 생겼었다. 그러나 축침의 사용이 고안되지 못했기 때문에 사용상 불안정하였다.
12세기경 자침이 중국에서 유럽으로 건너가서 1262년에 페리그리누스가 최초로 축침으로 자침을 지탱하여 그것을 눈금판 위에 세우는 것은 고안하여 자침은 나침반이 된 것이다. 그후 자침의 N극이 기우는 것은 막기 위해 자침의 남쪽에 철사를 감고 축침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래 루비, 메노 등 보석이 사용되고 전등으로부터 자침을 빨리 정지시키기 위해 특수 기름을 봉입한 실버 나침반이 나오게 되었다.
나. 나침반의 기능
나침반의 기능에는 정확한 진행 방향의 결정, 현재 위치의 확인, 지형과 지도의 함비, 거리의 측정, 자북선의 기입 등이 있다.
다. 나침반 사용상의 주의사항
나침반의 수평으로 우지하고 시계,회중전등,칼,라디오,무전기,고압선 등 전기, 자기,철물에서 떨어져서 사용해야 한다.
라. 실버 나침반의 사용법
실버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어 실버(숲의 여신)에서 유래된 스웨덴에서 숲은 뜻한다.따라서 실버 나침반은 살림 나침반이라는 의미가 된다. 이 나침반은 여러 가지 현저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나침반이 분도기의 기능을 구비한 분도기행 나침반이라는 점이다. 지도상에서 목적지의 각도를 잴 때 분도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둘째는, 나침반 룰 속에 특수 기름을 넣었기 때문에 자침이 빨리 정지하여 각 도 측정이 빨리 이루어지고 손이 다소 떨려도 기름에 흡수되어 정확한 각을 읽을 수 있다.
셋째는, 기저판이 투명 플레이트이므로 지도 위에 올려놓았을 때 밑의 지형을 볼 수 있고 확대경으로 작은 기호도 읽을 수 있다.
넷째는, 조작이 간단하다는 점이다.
지시된 각도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법
(자북 방위각 60°일때) 다이알을 돌려서 60°를 도수선에 맞춘다.
나침반을 가슴 앞에 수평으로 들고 진행선이 진방을 하도록 선다.
나침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침의 북단과 북반지시 화살표가 바로 겹칠 때까지 서서히 몸 전체를 돌린다.
자침의 북단과 북방지시 화살표의 머리가 같은 방향으로 겹쳐지면 진 행선이 가리키는 방향이 60°의 방향이다.
진행선의 연장선상에 있는 목표물을 정해서 걸어 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해 나가면 60°의 방위각에 있는 최종 목적 지에 도착하게 된다.
도착점에서 출발점으로 되돌아 오는 방법
목적 지점에 도착한 후 진행하는 각도(예:60°)는 그대로 하고 수평으로 든 나침반과 몸 전체를 돌려서 북방 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남단이 겹치게 할 때, 그 방향이 출발점의 방향이 된다.
목표물의 방위각 측정법
목표물을 향해 똑바로 서서 나침반을 왼손으로 바르게 쥐어 가슴 앞에 들고 진행선을 목표물에 향하도록 한다.
나침반을 목표물에 향한 채 다이알을 돌려서 북방 지시 화살표와 자침의 북단을 겹치게 한다.
도수선이 가리키는 다이알의 도수 눈금을 읽으면 현 지점으로부터 목표물 의 방위각을 나타낸 것이다.
지도에 자북선을 기입하는 방법(서편각 6)
나침반의 다이얼을 돌려 360에서 6를 뺀 354를 도수에 맞추고 지도상의 경선과 나침반의 북방지시 화살표응 일치시킨다.
나침반의 긴변을 따라 선을 그리며 지도상의 자북선이 된다.이때 지도 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4Cm간격( 1:25,000 지도에서는 1Km, 1:50,000에서는 2Km)으로 지도상에 자북선을 표시해 놓으면, 거 리 판정에 편리하고 지도정치에도 편리하다.
지도상에서 진행 방향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
지도상에 현재의 자기가 서 있는 지점과 목표 지점을 연결한다.
진행선의 방향을 목적지쪽으로 향하도록 하야 연결한 직선과 나침반의 긴변을 일치 시킨다.(이 때 자침은 무시한다.)
나침반은 움직이지 말고 북방지시 화살표의 방향과 지도의 자북선을 평행시켰을 때의 눈금이 그 지점의 자북 방위각이다.
9. 지도의 정치법
지도를 정확히 도북을 향하게 하는 것을 지도의 정치라고 한는데, 지형지물에 의한 방법과 나침반에 의한 방법이 있다.
가. 지형지물에 의한 방법
현지에서 지도상에 찾을 수 있는 저명한 지형지물 2개를 선정하고 눈짐작으 로 선장한 거상 목표물과 도상 목표물이 일직선이 되도록 지도를 움직인다.지 형지물 중 가장 좋은 것은 도로나 철로 등으로 이때에는 도로 또는 철도의 방 향, 지도상의 도로나 철로의 방향을 일치시키면 쉽게 정치할수 있다.
나. 나침반에 의한 지도 정치법
1) 자북선에 의한 방법
지도를 수평으로 놓는다. 지도 하단의 자북선 방향을 10cm정도 정확하게 연장한다. 자북선의 방향과 나침반의 북방자시 보조선을 일치시킨다. 자침의 북단이 북방지시 화살표와 일치 될 때까지 지도를 돌린다. 이때 나침반은 지도 위에서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일치가 정확히 되었을 때 지도는 정치된 것이다.
2) 도북선에 의한 지도 정치법
지도를 수평이 되게 놓는다. 나침반을 지도의 도북선(경도선)과 평행이 되게 놓는다. 실버 콤파스에서는 진행선과 경선을 일치시킨다. 지도와 나침반을 동시에 회전시켜서 진행선과 자침사이에 생긴 각도가 지 도 하단 난외주기에 표시된 도자각의 방향과 일치되게 자침을 맞춘다. 실버 나침반의 경우에는 미리 다이알을 편차각(서울:6.5)만큼 돌려놓은 후 북 방지시 화살표와 자침이 일치되게 하면 더 편리하다. 이렇게 하면 지도의 정치는 완료된다.
10. 교차법
지도상에서 이미 알고 있는 1지점 또는 2지점,3지점으로부터 방위각을 정하여 방위각선유 전반 또는 후방으로 교차시켜 목표물 또는 현재의 위치를 구하는 방법으로 교차법과 후방법이 있다.
가. 전방 교차법
지도상에서 현재의 자기의 위치를 알고 있으나 알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찾아내는 방법으로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1) 지도를 나침반에 의해서 정치한다.
2) 지도상에 자기 위치를 정하여 표시한다.
3) 미지의 지점에 대한 자북 방위각을 측정한다.
4) 미지의 지점이 보이는 둘째 번의 알고 있는 지점으로 이동한다.
지도상에 그 지점의 위치를 표시하고 지도를 정치한 뒤 위의 3과 4 조작을 반복한다. 이때 두개의 직선이 교차하는 곳이 지도상에서의 미지의 지점의 위치이다.만약 정확성을 기하고자 할 때에는 알고 있는 3번째 지점으로 가서 위의 조작을 반복한다. 이때 세 개의 직선이 삼각형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삼각형이 크면 잘못 측정된 것이니 위의 작업을 다시 해야 한다. 알고자 한느 지점의 위치가 삼각형의 중심이 된다고 추정해서는 안된다.
나. 후방교차법
지도상에서 나의 위치를 모르고 있을 때 2개 또는 3개의 찾기 쉬운 지형지물 또는 알고 있는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나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으로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1) 나침반을 이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2) 지상의 2개 또는 3개지점을 찾아내어 지도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교량, 산봉우리, 공장, 학교, 교회 등의 찾기 쉬운 지형물이다.
3) 알고 잇는 지점에 대한 자북 방위각을 측정하고 이를 다시 180도 빼거나 더해서 후퇴방위각으로 한다.
4) 알고 있는 지점을 기점으로 지도 위에 후퇴 방위각선을 긋는다. 이때 관측자의 위치가 능선, 철로, 도로, 강 계곡 등에 있다면 이 선과 도로 , 철로, 강의 교점이 현 위치가 된다. 이것이 1개 선에 의한 위치 찾는법이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두 번째 알고 있는 지점을 찾아서 2)와 3)의 작업을 반복한다. 이때 두 직선의 교점이 현재의 위치이다. 이때에도 정확을 기하기 위하여 세 번째의 알고 있는 지점을 이용하여 작도하면 된다.
이때에도 전방교차법과 마찬가지로 세 개의 선에 의해서 생긴 삼각형이 클 때에는 작업과정을 재검토해야 한다.
11. 방향 유지법
지도상에서 결정된 방위각을 어떻게 유지하며, 목적지까지 가는가 하는 방법을 말한다.
가. 방향유지법
1) 목적지와 자기 위치와의 거리와 시간을 산출한다.
2) 목적지와 자기위치를 그은 직선상에서 찾기 쉬운 지형지물을 중간 목표로 선정한다.
3) 그리고 각 중간 목표와의 거리와 소요시간을 산출하여 둔다.
4) 이렇게 하여 중간 목표를 잘 알고 이를 정확히 찾아가면 나침반을 항시 보지 않고도 목적지까지 갈 수 있다. 도중에 후방교차법에 의하여 자기 위치를 확인해 본다.
나. 장애물 우회시 방향 유지법
전진로 상에 못이나 끈 숲이 있어서 부득이 이를 피해 가야만 할 때에는 우로 방향을 변경하면, 본래 전진각에서 90도를 더하고 좌로 방향을 변경하면 90도를 뺀다.
이때 처음 방향을 변경하여 전진하면 그 거리를 보측하고 다시 처음 방향으로 돌아갈 때에는 이 보측 거리 만큼 가면 된다.
인용 : http://soback.kornet21.net/~hongma/htm/mount_1.htm
■ 방 향 (方 向)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방향은 좌측, 우측, 정면, 뒷면 등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막연히 우측 또는 좌측이라고 한다면 방향을 결정할 수 없다.
그래서 어느 지역에 가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정확하고 공통적인 측정단위와 방법을 알아야 한다.
1. 방향의 종류 일반적으로 동·서·남·북을 세분화하여 16개 방향으로 나눈다.
|
방향의 종류 |
2. 방향의 측정단위
방향의 측정단위에는 도(분,초), 밀리, 그래드 등이 있고 사용방법은 원주를 360。로 하는 도각법과 6,400㎜를 기준으로 하는 밀리각법이 있다.
가. 도 : 도(。) 분(′) 초(″)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측정단위이다.
나. 밀리(MIL: 약자로 ㎜) : 하나의 원둘레를 6,400㎜로 나누어 보다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특히 군용 M1(렌즈식) 나침반은 ‘도’와 ‘밀리’가 동시에 표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야광표시 및 크릭장치 (회전할 때 딱딱 소리가 나는 특수장치)가 있어 야간에 사용이 용이하다. ·360。= 6,400㎜ ·1。=17.8㎜ ·1㎜=약 3.4′ (3.375′)
다. 그래드(Grad): 외국지도에서 사용하는 측정단위이다. 그래드 측정 단위에는 한 원 둘레가 “400”그래드로 분할되어 있다. (이 측정 단위는 미터법과 함께 사용된다.)
·도북 방위각 100그래드=90。
·1그래드=100㎝ 그래드(Centi Grads)
·1㎝그래드=10㎜ 그래드(Mil Grads) 방향의 일주를 360。로 하는 도각법과 6,400㎜를 기준으로 하는 밀리각법이 있는데 이 두 방법을 제일 많이 쓴다. 도각법과 밀리각법
3. 기본방향
어떠한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항상 기본이 되는 기준점 또는 ‘0’점이 있어야 한다.
이 ‘0’이 되는 방향을 기본 방향이라고 하며 모든 방향 측정 단위의 기본이 된다.
기본 방향에는 진북, 자북, 도북이 있으며 이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향은 자북과 도북이다.
가. 진북 (眞北;True North)
지구 표면상의 어떤 지점으로부터 지리
적 북극(북극성) 방향이며 경도선과 거
의 일치하고 지도 제작상 정해진 북으로
세계 공통이다.
진북은 통상 별표(★)로 표시한다.나. 자북 (磁北;Magnetic North)
나침반의 자침이 가리키는 북쪽으로 캐
나다 북동부의 허드슨만(Hudson Bay)
의 북쪽에 있는 부시아 반도(Boothia
pen)에 위치한 프린스 오브 웨일스
(Prince of Walese)섬 일대의 천연적인
자력지대를 향한 방향이다. 기본3방향
이 곳은 북극점에서 남으로 약 1,300㎞ 떨어진 『 북위 75。』 『 서경
100。』지점이다.
자북은 통상 반화살표( )로 표시한다.다. 도북 (圖北;Grid North)
지도상의 수직 좌표선(경도선)에 의해 정해진 북으로 지도의 상부 방
향이다. 도북은 통상 화살표(쭽)로 표시한다.
4. 방위각
어떤 방향을 표시하는 데는 방위각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방위각은 기본 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측정한 수평각이다.
방위각을 사용할 때 방위각이 시작되는 지점(현위치)이 방위각 원의 중심(방위각 원점)이다.
※ 방위각 측정은 항상 시계방향이다. |
|
기본3방향 |
·진북 방위각:경도선(자오선)을 기준으로 측정시 ◎ 지도상에 현재의 자기위치에서 진행하려는 목표지점의 방위각을 구하는 방법에는 주로 도북 방위각과 자북 방위각을 사용한다. |
가. 도북 방위각
· 도북선(경도선)을 기준으로 한 자기위치에서 목표 지점의 각도이다.
· 도북을 기준으로 할 때는 도북선(경도선)이 방위각 원점이다.나. 자북 방위각
· 자북선(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을 기준으로 자기 위치에서 목표 지점의 각도이다.
· 도북 방위각에서 도자각만큼 더한 각이다.
· 자북을 기준으로 할 때는 자북선이 방위각 원점이다.
도북방위각 자북방위각
※ 도북과 자북 방위각의 비교
· 도북 방위각이란 : 지리학적인 남·북극을 축으로 그어진 경도선(도북선)에 의하여 남·북 방향이 결정되어 도북 방향인 “0”(0。)점이 되어 있다.
· 자북 방위각이란 : 지리학적인 남·북극 축과 약간 기울어진 지구의 지자기(地磁氣)에 의하여 정해진 남· 북(N·S)극을 기준으로 정해진 방향을 “0”(0。)점이 되어 있다.
이와같이 서로가 다른 기준점(0。)을 갖고 있기 때문에 편차각(偏差角)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도자각(圖磁角)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도북(경도선)에서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그래서 지도의 경도선(도북선)이 가지고 있는 북쪽(圖北)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나침반의 자침이 가리키는 북쪽(磁北)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지도상에서 잰 각을 나침반에 적용하려면 도자각을 “+” 해 주고, 나침반으로 잰 각을 지도상에 적용하려면 도자각을 “-”해 주면 된다.
5. 후퇴 방위각
현재 진행방향(목적지)의 반대방향의 방위각이 후퇴 방위각이다. 후퇴 방위각을 구하려면 방위각이 180。 또는 그 이하일 경우에는 180。를 더하고 방위각이 180。 또는 그 이상일 경우에는 180。를 감한다. 때문에 방위각 180。에 대한 후퇴방위각은 (180。-180。=0。, 180。+180。=360。) 0。또는 360。로 나타낼 수 있다. 즉 “N” 은 360。이면서 0。가 되는 동시에 나침반 사용시 방위각 측정의 기준이다.
※ 후퇴 방위각을 구하는 공식 180。 이상일 경우 - 180。 180。 이하일 경우 + 180。 |
■ 편 각 도 표 (偏 角 圖 表)
편각 도표는 지도 사용자가 지도를 정확하게 정치(定置)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축척 지도의 난외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이 도표는 자북 방위각, 도북 방위각, 진북 방위각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자북, 도북, 진북을 표시하는 3개의 선을 이용하여 도북과 자북(도자각), 진북과 도북(도편각), 진북과 자북(자편각)간의 각도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1. 편각(偏角)
편각은 진북과 도북, 진북과 자북, 도북과
자북간의 각도의 차이를 말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자편각
② 도편각
③ 도자각
2. 편각 도표(偏角 圖表)
편각 도표는 진북, 자북 및 도북을 표시하는 3개의 선을 가지고 있다.
가. 도자각(圖磁角;GM 각)
도자각은 도북과 자북간의 관계를 연관지어 준다. 즉 도자각의 수치
는 도북과 자북간의 각의 크기를 말하며 또한 그 편각의 수치로 제작
년도를 알 수 있다. 이 도자각의 수치는 최소 1/2도까지 나타내며 밀
리(㎜)로 표시할 때는 10㎜까지 나타낸다.나. 도편각(圖偏角)
도편각은 진북과 도북간의 관계를 연관지어 준다. 이 도편각의 수치
는 최소 분(')까지 나타내며 밀리(㎜)로 표시할 수도 있다.(연중 약
1° 내외의 오차가 난다.)
다. 자편각(磁偏角)
자편각은 진북과 자북간의 차이각이다.라. 변경주기(變更註記)
난외에 있는 변경주기는 도자각의 사용에 관하여 설명하는 도표와 함
께 표시된다.
이들 주기는 변경하는 데 필요한 지시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변경(가
산=加算, 감산=減算)은 도북 방향(圖北方向)에 대한 자북 방향(磁北
方向)의 관계, 다시 말하면 도자각(圖磁角)에 의하여 지배된다.
3. 도자각 변경(圖磁角 變更)
도자각은 매년 불규칙하게 서쪽으로 1'~1.5'씩 변하고 있으므로 구판지도를 사용할 때에는 제작년도를 감안하여 이들 변하는 수치만큼을 참고하여야 한다.
4. 편각측정(偏角測定)
도북은 지도상의 도북선(상좌표선)과 일치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지도에서는 도북선을 난외로 연장시킨 연장선상에 그려 놓았다.
난외주기의 편각 도표상에 표시된 상호 관련 위치도는 도북 및 자북 방향은 일치하나 그외 진북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들 방향(도북, 진북, 자북)간의 정확한 편각을 알려면 분도기를 이용하여 편각 도표상에 나타나 있는 수치를 적용하여 확인 및 정확한 측정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서편각 도표 |
동편각 도표 |
· 자북방위각을 도북방위각으로 변 |
· 자북방위각을 도북방위각으로 변 |
◎ 자극점과 자침의 편각
자극점은 캐나다 허드슨만 북동부에 있는 부시아 반도의 강한 자력지대를 말한다.
(북위 75°,서경 100°지점) 이 자력에 의하여 지구의 어디에서나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지구는 거대한 자성체라고 할 수 있다.
지구본을 보면 자침이 가리키는 북극점은 우리나라에서 볼 때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나 실제 자침은 서쪽(서편각)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의문을 갖게 된다.
이것은 지형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 복잡하여 지역에 따라서 자장(磁場)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지표상에 나타나는 자력의 영향에 의하여 자침의 방향이 일정하게 작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극점과 자침의 편각예상 도표 |
주) 위 표는 이해를 돕기위한 것으로 정확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체를 볼 때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편차각이 크다.
지형학적 북극과 지자기의 북극 |
전세계 지역별 편차각 도표 -1 |
전세계 지역별 편차각 도표 -2 |
5. 도북 및 자북 방위각의 상호변경
경우에 따라서는 기본 방향에서 또 다른 하나의 기본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나침반에 의하여 자북 방위각은 얻을 수 있으나 이것을 지도상에 그리기 위해서는 자북 방위각(나침반으로 측정한 각도)을 도북 방위각(도자각 만큼 오차 수정)으로 변경해야 한다. 이와 반대로 지도에서 측정된 도북 방위각을 나침반과 같이 사용하려면 도북 방위각을 자북 방위각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도북 및 자북 방위각의 상호변경 |
( 독도법 II p155~p161 참고 )
■ 방향 표정기구 및 사용법 (方向 標定器具및 使用法)
일반적으로 방향과 각도를 측정하는 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구는 자석식 나침반이다.
1. 나침반의 종류와 일반지식
가. 나침반의 종류
· 렌즈식 나침반(M1, 군용=보병용)
· 포병용 나침반(M2, 군용=포병용)
· 실버(SILVA=스웨덴)
· 렉타(RECTA= 스위스)
· 썬토(SUUNTO=핀란드)
나. 나침반의 유래
12세기경 중국에서 자침이 유럽으로 건너가서 1269년 페레그리누스가 최초로 축침으
로 자침을 지탱하여 그것을 눈금판 위에 세우는 것을 고안하여 자침은 나침반이 되었
다.
다. 나침반의 기능
· 방위각 판정
· 진행 방향 결정
· 현재 위치 확인
· 지형과 지도의 합치(지도 정치)
· 거리 측정 쪾 자북선 기입
라. 나침반 사용상의 주의사항
· 나침반을 사용할 때는 항상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 나침반은 정밀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작은 충격에도 손상을 입기 쉬우므로 주
의해야 한다. 또한 기판이 투명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나침반은 화기에 매우 약하
다.
· 나침반을 읽을 때는 철물이나 전선에 가까이 해서는 안된다. 단, 비철류(동, 알루미
늄, 스텐레스 등), 비자석 및 합금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마. 나침반 기능 보장을 위한 안전거리 쪾고압전선:60m 쪾자동차:20m 쪾통신전화선
및 유자철선:10m 쪾휴대폰, 무전기, 라디오, 칼, 시계, 전등, 버클:0.5~1m 52P
2. 투명 플라스틱 나침반의 특징과 사용법
가. 투명 플라스틱 나침반의 특징
(1) 직사각형의 기판이 각면에 자 또는 축척의 눈금을 표시하여 거리 판
단이 용이하다.
(2) 기판의 내부에 회전되는 각도 표시 다이얼이 있어 각도기(분도기) 기
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기판이 투명한 평면이므로 지도 위에 올려 놓았을 때 밑면의 지형을
볼 수 있다.
(4) 각도 표시 다이얼에는 북을 “N”(0。=360。)으로 2。마다 눈금이 있고
20。마다 숫자로 도수가 표시되어 있다.
(5) 확대경이 달려 있어 세밀한 부분도 읽을 수 있다.
(6) 나침반 자침실 내에는 완충용액이 들어 있어 자침이 빨리 정지하므로
신속과 정확을 기할 수 있다.
나. 투명 플라스틱 나침반의 사용법
(1) 각도기(분도기) 기능을 이용하거나 특히 목표물 관측 및 방위각 측정
시에는 항상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2) 왼손 엄지와 인지, 중지, 검지로 기판의 양쪽을 잡은 다음 팔꿈치는
옆구리에 밀착하여 나침반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나침반이 몸의 중심
에 위치하도록 한다. 오른손은 각도 표시다이얼을 돌려 방위각을 측
정한다.
(3) 야간사용을 위하여 자침(적침)과 북방지시 화살표 양쪽 도수지시선
(지표선), 진행화살표 부분에 야광 물질이 붙어있다. 이 야광 물질은
햇빛에 약 30분간 쪼여두면 야간에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다.
투명플라스틱 나침반의 구조와 명칭
다. 나침반의 구성과 기능
나침반의 구성은 크게 3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각도표시 다이얼부【그림 119 (1)】
(가) 도수눈금 : 각도표시 다이얼부에는 180개의 눈금이 그어져 있는데
눈금 하나는 2。 를 나타내며 5칸마다 긴 선을 그어 10。를 표시하고
20。마다 아라 비아 숫자로 도수가 새겨져 있다.
(나) “N” 마크 : 북쪽 방향 표시로 0。 이면서 360。가 된다. 모든 방향 측
정의 기준점 (“0”점)이다.
(다) 북방지시화살표 : 북방지시화살표는 북쪽인 “N”마크와 일치한다. 이
화살표는 지도상에서 도북·자북 방위각 측정시 기준선(“0”점선)이 된
다. 또한 자침(적침, 백침)부분이 정확한 북쪽 방향으로 표정될 수 있
도록 돕는다.
(라) 보조남북선 : 북방지시화살표의 평행선이다. 이 선은 북방지시화살
표의 양쪽선과 함께 도북·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및 도상의 방위각
측정시 기준선(“0”점선)이 된다.
(2) 자침부【그림 119 (2)】
자침부는 자침을 지지하는 자축과 자침(적침=“N”, 백침=“S”) 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도표시 다이얼의 완충 용액실 내부에 자침부가 들어 있어 자침이 빨리 멈추고 흔들림을 방지한다.
(3) 기판부 【그림 119 (3)】
(가) 기판 : 나침반 몸체
(나) 자 : ㎝자 및 도표척도(1:25,000 / 1:50,000)
(다) 진행화살표 : 진행방향 설정
(라) 도수지시선(지표선) : 기판에 고정된 눈금표시로 진행 화살표 방향
과 일치하며 도수 눈금의 밑면에 위치하여 방위각을 재는 기준선이
다.
(마) 보조진행선 : 보조진행선은 진행화살표 방향과 평행하는 선으로 나
침반 기판의 양 옆변도 같은 기능을 한다.
(바) 확대경 : 지도상의 작은 부분도 읽을 수 있다.
(사) 야광점(선·판) : 야간에 방향표시 및 방위각을 읽을 수 있다.
(아) 도수눈금(숫자)반사판 : 기판에 고정되어 있으며 도수눈금 및 숫자
와 대비색(흑·백)으로 방위각의 식별을 용이하게 한다.
(1) 각도표시 다이얼부
| |
나침반의 분해도 및 각부 명칭 |
라. 나침반에 의한 각도와 방위의 명칭
나침반에 의한 각도와 방위의 명칭 |
마. 목표물의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법
(1) 우선 가야 할 목표물을 향해서 똑바로 선다.
(2) 나침반을 왼손으로 가볍게쥐고 팔꿈치는 옆구리에 붙인 다음 가슴 앞쪽에 위치시킨 후 나침반의 진행선이 목표물을 향하도록 한다.
목표물의 방위각 측정 방법 - 1 |
(3) 그러면 자침의 붉은 침이 어떤 방향(자북선)으로 움직인 상태가 된다. 이때 오른손으로 각도표시 다이얼을 돌려 자침의 적침에 북방지시화살표 또는 “N”을 겹치거나 일치시킨다.
※ 이것은 지구가 가지고 있는 남·북극 방향의 자극에 나침반 자침의 자극을 일치 시킴으로써 “0” 점을 잡는 작업이다.
“0”점이 있어야 어떤 방향을 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방위각은 “0”점에서 75。 방향이 된다.
목표물의 방위각 측정 방법 - 2 |
목표물의 방위각 측정 방법 -3 |
(4) 도수지시선(진행선=지표선)과 일치되는 다이얼의 눈금의 도수가 목표방위각이다(목표방위각 75°).
(5) 목표물의 방위각을 알았으면 그 방위각을 외워 둔다.
(6) 평지에서는 목표가 잘 보이지만 좀 가게 되면 산이나 나무숲에 가려 안보일 때가 있다. 이때도 외워 둔 각도를 지표선(진행선)에 일치시키고 “N”(북방지시화살표)과 붉은 침이 일치 되도록 몸을 돌리면 최초의 목표 방향이 되는 것이다.
바. 지정된 방위각으로 진행하는 법(예:방위각이 60。으로 지정되었을 때)
(1) 각도표시 다이얼을 돌려서 진행선(도수지시선=지표선)에 60。를 맞춘다.
지정된 방위각으로 진행하는 방법-1 |
(2) 나침반을 가슴 앞에 수평으로 들고 진행선을 진행할 쪽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3) 나침반을 그대로 유지한 채 자침의 붉은 침이 “N”과 일치 또는 북방지시화살표와 겹칠 때까지 서서히 몸전체를 돌린다.
지정된 방위각으로 진행하는 방법-2 |
※ 이것은 지구가 가지고 있는 남·북극 방향의 자극에 나침반 자침의 자극을 일치시킴으로써 “0”점을 잡는 작업이다. “0”점이 있어야 어떤 방향을 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방위각은 “0”점에서 60。방향이 된다.
(4) 이때 자침의 붉은 침이 “N”과 일치 또는 북방지시화살표와 겹치게 되면 진행선(진행화살표)이 가리키는 방향이 60°의 방향이 된다.
지정된 방위각으로 진행하는 방법-3 |
(5) 진행선(진행화살표)의 연장선상에 있는 방향이 지정된 방위각이다. 지정된 방위각으로 진행하다가 장애물이 생길 경우에는 앞에서 실시한 방법을 재 실시하면 된다.
( 독도법 II p180~p200 참고 )
[출처] 방향 표정기구 및 사용법 |작성자 녹색혁명
■ 진행 방향 측정법 (進行 方向 測定法)
1. 지도상에서 진행방향 측정법
지도상에서 진행방향(목적지)의 각도를 정하는 법
◎ 이하 현위치 및 목적지에 대한 기호
· 현위치 = ○, · 목적지 = □
가. 도상에 현위치와 목적지 표시
지도상에 현재 자기가 위치해 있는 지점(출발
점)을 확인한 뒤에 목적지까지 직선을 긋는다.
예) 현위치=백련암 위 삼거리, 목적지=신불재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그어 표시해 둔다).
지도상에서 진행 방향 측정법 - 1 |
나. 현위치와 목적지에 나침반의 장변일치 “가”항에서 그어진 진행방향선에 나침반의 보조진행선(기판 좌우 긴변)을 일치시킨다 (자침의 움직임은 무시=일명 in-door climbing 이라고 생각하면 됨).
(1) 자북선 기준 방위각 측정-1
지도상에서 진행 방향 측정법 - 2
(위 지도는 자북선을 그은 지도임 = 도자각 6°30′)
(2) 도북선 기준 방위각 측정-1
지도상에서 진행 방향 측정법 - 3
(도북선만 있을 때)
다. 나침반의 보조 남북선에 자북·도북선 일치 ‘지도와 나침반은 움직이지 말고 각도표시 다이얼 저면에 그려 있는 북방 지시화살표 ( )를 “자북선” 또는 “도북선”에 평행시킨다(그림 (1)자북선 기준 (2)도북선 기준에서 목표지점에 대한 방위각의 차이는 6°30′이다. 이 차이각이 도자각임을 알 수 있다).
(82°- 75°30′ = 6°30′)
(1) 자북선 기준 방위각 측정 - 2
- 자북선 기준:도수지시선(지표선)과 눈금표시 다이얼의 각도가 일치하는 도수가 목적지로 가는 방위각이다
· 실제지형인 백련암 위 삼거리에서는 지표선(진행화살표방향)에 방위각 82°를 맞추고 적침을 “N”과 일치시킨 후 진행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면 신불재에 오르게 된다.
지도상에서 진행 방향 측정법 - 4
(2) 도북선 기준 방위각 측정 -2
- 도북선 기준:도수지시선(지표선)과 눈금표시 다이얼이 일치하는
도수에 도자각을 더하면 목적지로 가는 방위각이 된다.(여기서 도북
선 기준이란 나침반이라는 특수한 기구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
에 결과적으로 자북선 기준에 귀결됨을 알 수 있다.)
· 실제지형인 백련암 위 삼거리에서는 지표선(진행화살표방향)에 도
북선 방위각(75°30′)과 도자각 (6°30′)을 더하여 82°를 맞추고 적침을
“N”과 일치시킨 후 진행 화살표방향으로 진행하면 신불재에 오르게
된다.
※ 방위각 75°30' 지도상에서 진행 방향 측정법 - 5
라. 도수지시선에 방위각 확인
실지 지형에 가서는 앞 “다”의 (1).『자북선기준』, (2).『도북선기준』의 기준 방위각은 82°이다. (도북선 기준은 75。30、+6。30、= 82。이다.)
이 기준 방위각에서 좌·우로 편차가 심할 경우에는 다시 지도정치를 실시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목표지점의 방위각을 따야 한다.
이후의 진행방법은 「지정된 방위각」으로 진행하는 법을 참고하면 된다. (기준방위각 82°는 지정된 방위각과 같은 개념이다. )
※ 진행 방향 측정법의 응용
· 목적지가 정해지면 지도와 나침반을 가지고 미리(인도어 클라이밍
=in-door climbing) 특정 지점(산꼭대기, 갈림길 등 길을 잃을 수 있
는 지역)의 진행방향 각도를 지도에 적어 둔다.
· 여름철 비·안개, 겨울철 눈 등으로 시야가 보이지 않거나 단체(안내)
산행시, 특정 지점의 진행 방위각이 명시된 지도를 복사하여 나침반
과 같이 각 팀에게 나누어 주면 길을 찾아 가는데 큰 도움이 된다.
2. 자북선 기입법 하나, 둘, 셋(나침반의 분도기 기능 이용법)
자북선 기입, 하나 |
자북선 기입, 둘 |
자북선 기입, 셋 |
( 독도법 II p201~p205 참고 )
■ 지도정치 (地 圖 定 置)
◎ 지도정치란:지도를 수평으로 놓고 지도상의 남과 북을 실제 지상의 · 나침반의 자침이 가리키는 북쪽은 자북선 방향이므로 지도 구입 후
남과 북에 일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 지도는 사용 전에 우선 지도 정치를 해야 한다.
· 지도정치 방법:
①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②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③ 지형지물에 의한 지도정치(도북선과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는 나침반을 사용한다.)
자북선을 4㎝간격으로 그어 두면 매우 편리하다.
1.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서편각일 경우 도자각 6。30'일 때=지도의
하단 난외주기에 표시되어 있음)
가. 지도를 지면에 수평되게 놓는다.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 1 |
나. 나침반을 손에 들고 지도의 하단 난외주기에 표시되어 있는 도자각
(6。30?)을 확인 후 나침반의 각도표시 다이얼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돌려 도수지시선에 6。30?을 맞춘다.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 2 |
다. 나침반 기판의 양 옆 긴 변이나 보조진행선을 지도의 경도선(도북선)
위에 놓고 일치시킨다.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 3 |
라. 지도 위에 올려 놓은 나침반이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지도를
움직여 나침반의 “N”(북방지시화살표)과 자침의 적침을 일치시키면
지도정치는 완료된다.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 4 |
2.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앞에서 설명한 자북선 기입 방법에 의거 자북선이 그어져 있을 경우나 지도에 자북선을 기입한 후에 사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가. 지도를 지면에 수평되게 놓는다.
나. 나침반의 각도표시 다이얼을 돌려 도수지시선에 “N”을 맞춘다.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 1 과, - 2 |
다. 나침반의 옆 긴변 또는 보조진행선을 지도의 자북선에 일치되게 맞춘
다.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 3 |
라. 지도 위에 올려 놓은 나침반이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돌리면서
자침의 적침이 “N”(진행화살표)방향과 일치하면 된다.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 4 |
3. 지도정치 요약
지도정치 요약 |
위 그림의 「 나침반 1 」은 도북선(경도선)에 의한 지도정치다.
「 나침반 2」는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다.
나침반 1과 나침반 2 를 비교해 보면 나침반 1은 도자각(6°30')만큼 “+”되었으며 나침반 1에서 수직선을 그어 보면 나침반 2는 6° 30'의 차이가 난다.
또한 나침반 1과 2의 보조남북선이 일직선(평행선) 상태에 있으며 도자각은 서편각(서쪽으로 기움)임을 알 수 있다.
[출처] 지도정치 (地 圖 定 置) |작성자 녹색혁명
■ 전방교회법
교회법이란 2개 또는 3개의지점을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전방의 지형지물의 위치(전방 교회법)나 2개 또는 3개의 알고있는 지점이나 미지의 지점을 통하여 자기의 위치(후방교회법)를 알아내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대체로 지도상에 나타나 있지 않은 지형지물의 위치나 미지의 지점을 통하여 자기위치를 알아내는 데 사용한다.• 교회법의 종류 : 전방교회법, 후방교회법
※ 미지(未知)의 지점이란?
산행중 주변에서 무수히 많이 나타나는 무명의 봉우리들을 일컫는다.1. 전방교회법
지도상에서 자기의 위치는 알고 있으나 알고자 하는 지점의 위치를 찾아낼 수 없을
때 사용하 는 방법이다.가. 지도와 나침반에 의한 방법
(1)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앞의 도북선 및 자북선에 의한 지도정치
참조).
문) 실제 지형에서 도북선에 의한 지도정치를 한한 후 어떤 지점에 대하여 나침
반으로 방위각을 측정했을 때 도자각만큼을 가감해야 하는가?
답) 도자각은 적용할 필요가 없다.
설명) 지도정치란 지도와 실제지형을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북선 및 자
북선에 의한 지도정치가 있을뿐이며 일단 지도정치가 완료되었다는 것은
지도상의 남북과 실제 지형상의 남북이 일치된 것이다.
즉, 나침반이 가리키는 자북 방위각을 기준( N = 0° = 360° )으로 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나침반으로 방위각을 측정시에는 각도표시 다이얼의
"N"을 도수지시선(진행선방향)에 일치시킨 후 방위각 측정법에 의거 방
위각을 측정하되 나침반에 나타난 각도를 그대로 읽거나 지도상에 작도
하면 된다 (도자각은 적용하지 않는다).
[지도를 정치한다] ↔ 6°30' ◎ 도자각6°30' 전방 교회법(나침반) - 1
(2) 지도상에 자기의 위치를 표시한다[제1~2지점(재약산, 갈림길)=○ , 목표물=□].
전방 교회법(나침반) - 2
(3) 나침반으로 알고자 하는 지점에 조준 후 방위각을 측정한다.
(예) 재약산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인 간월산 앞에 있는 봉우리(약930m)의 방위각은
86。30′이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3
(4) 앞(3)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86。3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 위에 놓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뒷부분(진행화살표 반대쪽)을 제1지점(재약산)
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분도기 사용 : 보다 정확하게 교회법을 작도하고자 할 때에는 분도기를 사용하면 된
다.
이때 자북선이 그어져 있지 않을 때에는 자북 방위각을 도북 방위각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즉, 86。30′- 6。30′=80。00′이 도북 방위각이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4
(5) 알고자 하는 지점이 보이는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여 앞의 (3)에서 (4)까지 내용대로
반복한다. )
(예)재약산 ─ 알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방위각은 95。00′이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5
(6) 앞(5)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95。0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 위에 놓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뒷부분(진행화살표 반대쪽)을 제2지점(갈림길)
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분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앞 (4)번을 참고하면 된다).
전방 교회법(나침반) - 6
(7) 위 두 직선의 교차점이 알고자 하는 지점의 지도상의 위치가 된다.
◎ 보다 정확성을 기하고자 할 때는 제 3의 지점으로 이동하여 앞에서 설명한
순서대로 반복 실시한 후 3개의 직선이 한 점에 일치되면 지도상 정확한 위
치가 되지만 만약 삼각형이 형성되었을 경우 삼각형이 작을 때는 대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으나 삼각형이 클 경우에는 측정이 잘못된 것이니 “가”의
작업 (3)~(4)순서대로 다시 실시한다.
나. 분도기를 이용한 전방 교회법 작도 요령
전방 교회법(나침반) - 7
※ 주의: 삼각형의 중앙을 정확한 위치라고 추정해서는 안된다.
(예) 재약산 및 간월산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이 능동산이라고 가정했을 때
(도자각 6。30′일 때)(1) 실제 지형에서 나침반에 의하여 측정된 방위각
① 재약산 → 능동산=약 45° 30′ ② 간월산 → 능동산=약 337° 30′
다. 전방 교회법 요약
(1) 실제 지형에 가서 지도정치를
한다.(2 ) 지도상에 자기가 알고 있는 “제 1
지점” “제 2 지점”을 표시한다.
전방 교회법 요약 - 1
전방 교회법 요약 - 2
(3) 제 1 지점에서도 알고자 하는 지
점의 방위각을 잰 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4) 제 2 지점에서 알고자 하는 지점
의 방위각을 잰 후 지도상에 연필
로 선을 긋는다.
전방 교회법 요약 - 3
전방 교회법 요약 - 4(5) 두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알고자 하는 지점의 지도상 위치다. A=제 1 지점 B=제 2 지점
C=알고자 하는 지점 전방 교회법 요약 - 5
( 독도법 II p242~p250 참고 )
■ 후방교회법
지도상에 자기의 위치를 모를 때 이용하는 방법으로 2개 또는 3개의 미지(未知)의 지점이나 찾기 쉬운 지형지물 또는 이미 알고 있는 산봉우리 및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자기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산행 중 현재의 자기 위치 확인시 사용되며 지도와 나침반 및 곧은 자에 의한 방법이 있다.※ 후방 교회법이나 전방 교회법에서 알고 있거나 찾기 쉬운 산이나 봉우리들을
예로 들었지만 실제 산행에서는 이름이 없는 무명의 봉우리들에 의하여 전·후
방 교회법이 실시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후방 교회법에서 현재 위치 파악은 대체로 2개 이상의 지점을 선정하게 되
는데, 산행 중 주변 지형에서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미지의(봉우리)지점을 확인
한 후 지도상에도 그 지점이 나타나 있는지 확인한다.
대략적인 확인이 끝나면 선정된 2개의 미지의 지점에 대하여 나침반으로 방위
각을 측정한 후 지도상에 두 선을 교차시켜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두 지점을 안다는 것은 지도와 나침반에 의하여 알게 된 지점. 즉, 미지
의 지점일 뿐, 기타 어떠한 경험이나 인지에 의한 것은 아니다.
아울러 후방 교회법에서 대체로 2개 이상의 지점을 교차시켜 자기의 위치를 확
인하는데 지도정치를 정확히 한 상태에서 미지의 지점에 대한 방위각을 정확하
게 측정할 수 있다면 1개의 지점으로도 현위치 파악이 가능하다.가. 지도와 나침반에 의한 방법
(1) 나침반을 사용하여 지도를 정치한다.
※지도를 정치하였다는 것은 도자각만큼을 적용한 것이므로 여기서 도자각은
생각할 필요가 없다.
↔ 6°30' ◎ 도자각6°30' 후방 교회법(나침반) - 1
(2) 지도를 정치한 후 지도상에 산봉우리 또는 현저한 지형지물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자기의 현재 위치에서 실물이 보이는가를 확인하여 식별이 가능한 미지
의 지점이나 이미 알고 있는 지점에 대하여 2~3개의 위치를 표시한다.
알고 있는 지점(미지의 지점) = □ , 쪾자기의 현재 위치(현위치) = ○
예) 영남 알프스〔사자봉(천황산), 간월산, 능동산 일원〕
후방 교회법(나침반) - 2
(3) 나침반을 들고 지도상에 표시한 제 1의 지점에 대하여 조준 후 방위각 측정법
에 의하여 방위각을 측정한다.
예:사자봉(천황산)에서 능동산으로 이동 중 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현위치 → 966봉=방위각 약 98。30′으로 측정되었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3
(4) 앞(3)번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98。3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위에 놓
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앞부분(진행화살표 방향)을 제 1 지점
(966봉)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4
(5) 지도상에 표시한 제 2 지
점(간월산)에 대하여 조준 후 방위각을 측정한다.
현위치 → 간월산=방위각 약 133。00′으로 측정되었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5
(6) (4) 앞(5)에서 측정된 나침반의 방위각 133。00′을 그대로 유지한 채 지도위에
놓고, 나침반 기판의 양옆 긴 변 중 한 변의 앞부분(진행화살표 방향)을 제 2 지
점(간월산)에 맞추고 북방지시화살표에 적침을 일치시킨후 지도상에 연필로 선
을 긋는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6
(7) 이 선들의 교차점이 자기의 위치가 된다.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관측이 가능한 제 3 의 지점을 지도상에 표시 후 방위
3개 지점을 이용하여 3선이 교차될 때 오차가 생기면 삼각형이 형성되는데 삼
각형이 클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방법을 재실시해야 한다.
후방 교회법(나침반) - 7
나. 후방 교회법의 요약
(1) 실제 지형에 가서 지도를 정치한다
(2) 실제 지형에서 관측이 가능한 알고
있는 지점이나 미지의 지점 2∼3개
를 선정하여 지도상에 표시한다.후방 교회법 요약 - 1
후방 교회법 요약 - 2(3) 교회를 향하여 방위각을 잰 후 지도
상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4) 저수지 끝부분을 향하여 방위각을
잰 후 지도에 연필로 선을 긋는다.후방 교회법 요약 - 3
후방 교회법 요약 - 4
(5) 두 직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자기가
서있는 현위치가 된다. A=제 1 지점 B=제 2 지점 C=현위치
후방 교회법 요약 - 5
( 독도법 II p251~p259 참고 )
'[사람과 산] > ▒ 등 산 지 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독도법2 (0) | 2011.05.31 |
---|---|
[스크랩] [등산학교 명강사의 족집게 강좌] 독도법 - 박승기 (0) | 2011.05.31 |
[스크랩] KBS2TV, 히말라야 석청 3스푼은 치사량 (0) | 2011.04.25 |
[스크랩] 네가지 맹독이 우글대는 히말라야 석청 (0) | 2011.04.25 |
울산 시민등산교실 제2기 알피니즘 강의 (0) | 2011.04.07 |